
만주사변은 1931년 9월 18일 일본 관동군이 만주 침략의 구실로 삼기 위해 일으킨 남만주 철도 폭파 사건으로 촉발됐다. 일제는 이후 불과 반년 만에 만주 전역을 점령하고 이듬해 3월 괴뢰국가인 만주국을 선포, 1945년 연합국에 패전할 때까지 만주를 병참기지로 삼았다.
만주사변 발발 90주년인 9월 18일 중국 각지에서는 항일전쟁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행사가 열렸다. 특히 만주사변이 일어났던 랴오닝성 선양(瀋陽)의 9·18 역사박물관 광장에선 항일전쟁 참전 노병들이 참여한 가운데 대규모 기념식이 거행됐다. 현지 시각 오전 9시 18분부터 3분 동안 선양 전역에 ‘국치(國恥)를 기억하고 중화민족 부흥에 힘쓰자’는 의미의 사이렌이 울려 눈길을 끌었다. 사이렌이 울리는 동안 선양 도심에선 운전자들이 차량 운행을 멈추고 경적을 울리며 항일전쟁 기간에 희생된 3천500만 명의 중국인을 추모했다.
만주사변 90주년인 올해 중국 내 반일정서는 갈수록 고조되는 분위기다. 결정적인 계기는 지난 4월 미일 정상회담이다. 일본 스가 총리가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미국과 협력한다고 밝히면서 중일 관계가 경색되고 중국 내 반일정서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중국 내 반일정서는 대중문화 부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지난 8월 중국 배우 장저한(張哲瀚)이 2018년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 신사를 방문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모든 광고가 일시에 끊기며 사실상 연예계에서 퇴출당했다. 드라마 ‘황제의 딸’로 잘 알려진 배우 자오웨이(趙薇)는 20년 전 욱일기 드레스 사진이 최근 다시 유포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달 초에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가 라오닝성 다롄에 일본 교토를 모방해 조성한 상업지구가 ‘일본문화침략’이라는 비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영업 2주 만에 문을 닫았다. 2019년 장쑤성 쑤저우, 2020년 광둥성 포산에 각각 문을 연 일본풍 거리가 관광지로 자릴 잡은 것에 반해 다롄의 교토 거리는 때마침 불어 닥친 반일정서의 강풍을 이겨내지 못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