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선저우 13호, 중국 우주정거장 모듈과 도킹 성공

 

 

중국의 '우주굴기'가 다시 한번 성큼 큰 걸음을 내딛었다.

중국 유인유주선 선저우(神舟) 13호가 16일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모듈과의 도킹에 성공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중국유인우주국(CMSA) 발표에 따르면 선저우 13호는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2F 야오(遼)-13호'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약 6시간 만인 16일 오전 6시56분(현지시간) 톈궁의 1차 모듈 톈허(天和)와 도킹하는데 성공했다.

 

 

톈궁은 현재 중국이 독자적으로 건설 중인 우주정거장이다. 중국만의 기술로 건설 중이다. 

본래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과정은 다양한 기술을 확보하는 과정과 맞물려 있다. 우주 실험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은 향후 첨단 산업 기술로 응용될 가능성이 크다.

당장 미국은 이 같은 우주 실험을 통해 확보한 기술로 오늘날 IT 분야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우주정거장 운용에는 단순히 미사일 발사와 조정 기술만 필요한 게 아니다. 통신 기술은 물론이고, 우주인 생활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모두 실제 상황 속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게 된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선저우 13호에 탑승한 자이즈강(翟志剛), 왕야핑(王亞平), 예광푸(葉光富) 등 3명은 앞으로 6개월 동안 톈궁 건설에 필요한 각종 장치 설치, 핵심 기술 테스트, 과학 실험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선저우 13호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머무는 6개월은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우주 체류기간이다. 특히 왕야핑은 우주선 밖에서 유영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첫 번째 중국인 여성 우주비행사로 기록될 전망이다.

 

 

중국은 앞으로 텐허에 추가로 모듈을 연결해 내년 말까지 우주정거장 텐궁 건설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톈궁은 현재 미국, 러시아 등이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크기인 길이 37m, 무게 90t 규모로 완성될 예정이다.

한편, 중국이 지난 6월 17일 발사한 선저우 12호는 석 달 간의 임무를 마치고 9월 17일 귀환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창어(嫦娥) 5호가 달 지표면 샘플을 수집해 귀환했고 지난 5월에는 화성에 탐사 로봇 주룽(祝融)을 착륙시키는데 성공하는 등 '우주굴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