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 중국 전기스쿠터 시장

 

중국은 한 때 자전거의 나라였다. 베이징 시내를 나가면 출퇴근 시간 도로를 자전거들이 가득 메웠다.

자전거를 대체한 게 오토바이다.

최근 자동차 보급이 일반화하면서 많은 오토바이들이 도로에서 사라졌지만 오토바이는 아직도 중국의 중요한 이동 수단이다.

중국 오토바이는 빠르게 전동화했다. 엔진으로 가는 게 아니라 전기모터로 이동을 하는 식이다. 전동 오토바이는 특히 대학생들의 필수품이기도 하다.

10년 전 베이징 대학에는 학생들이 타고 다니는 자전거와 전동 오토바이로 매 단과대학 건물 앞이 가득했다. 사람이 다니기 힘들 정도였다.

중국은 실제 세계 주요 오토바이 수출국이기도 한다.

탄탄한 국내 소비를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 회사들은 성능 좋으면서 가격도 싼 오토바이를 만들어 세계 곳곳으로 수출을 한다.

가성비가 바로 중국 오토바이 제품의 경쟁력이다. 중국에서는 전기스쿠터/모터스쿠터를 '전동차'라고 한다.

 

 

최근 중국 연구기관이 발표한 ‘2022~2028년 중국 전동차 산업 시장 조사와 투자 전망 연구보고’에 따르면 2021년 9월 중국의 전동차 수출 물량은 346만대를 기록했다.

이른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한 것이다.

수출액은 10억5500만 달러였다. 한화로 대략 1조2539억7300만 원 가량이다. 구글 검색을 통해 살펴보면 올해부터 향후 5년간 세계 전기스쿠터 시장 규모는 1632만대의 성장이 예상된다. 맥킨지는 2030년에 이르러 전기 오토바이와 스쿠터 등을 망라한 전기 휠 시장이 5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수치들은 글로벌 전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비중이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 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그래픽을 통해 보듯 중국의 전동차 수출액은 2020년 10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대략 9억 달러에서 11억 달러 사이의 박스권 움직임을 보여준다.

 

 

지난 5년간의 실적을 보면 중국의 전동차 수출은 매년 증가세를 나타냈다. 자연히 수출액도 상승세다. 전기자동차의 인기와 함께 이 같은 인기는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8년이 전동차 단가 상승폭이 가장 컸고, 2017년이 10.3%가 떨어지면서 하락폭이 가장 가팔랐다.

현재 전동차 단가는 2018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터와 배터리의 단가가 떨어지는 때문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