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포브스 선정 중국 부자 Top 5...농부산천 중산산 1위

중국의 최대 부자의 성격이 달라졌다. 부동산 재벌이 아니라 농부산천의 주인인 중산산이었다.

헝다 사건 등으로 중국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식수 등 음료로 유명한 농부산천 가치가 새롭게 부각된 것이다.

이어 AI가 편집해서 보여주는 뉴스 서비스로 유명한 '진르터우탸오'의 주인공이 그 뒤를 이었다.

바이두, 텐센트의 주인공이 아니라 미디어의 주인이 중국 2위 부자로 올랐다는 점이 눈에 띈다. 중국 미디어 산업의 위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국은 글로 쓰는 문어와 말로 하는 구어가 확실히 다른 언어다. 한자로 이뤄지는 중국 문어는 오랜 시간을 두고 발달해 그 어떤 언어보다 한 편의 문장 속에 청각과 시각적인 공감각을 담을 수 있다. 한자의 특성 덕에 문장도 대단히 짧게 끊어진다. 여기에 상형자인 한자의 시각적 효과와 한 음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 한자 특성 덕에 고유한 음성적 효과까지 동시 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중산산의 이름 한자 산의 모습은 마치 눈에 눈섭이 부리부리한 대장부의 인상을 담고 있다. 

중국 미디어는 이 같은 한자 특성 덕에 세계 어느 나라보다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1. 중산산钟睒睒(726억 달러, 포브스 16위)

1993년 유한회사 양생당을 설립해 양생당 자라환, 도이캡슐 등의 브랜드를 론칭했다. 1996년 항저우(投资州)에서 농부산천(農府山股份有限公司)주식회사를 설립하여 농부산천, 농부과수원, 비명 등 국내 유명 음료 브랜드를 만들었다.

2. 장이밍张一鸣 (495억 달러, 포브스 27위)

중국 최대 콘텐츠 플랫폼 중 하나인 Today's Toutiao(今日头条)의 설립자는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 유명인 중 한 명이다.

 

3. 曾毓群 (459억 달러, 포브스 32위)

2011년 재창업해 황세린(黄世霖) 등과 함께 닝더시대에너지테크놀로지유한공사를 설립해 유한이사로 취임했다.

 

4. 马化腾 (404억 달러, 포브스 35위)

텐센트 CEO이다. 마화텅이 세운 텐센트는 현재 중국에서 인터넷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회사다. 텐센트의 최고 인기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위챗은 현재 가입자가 9억6000만 명을 넘어섰다.

 

5. 李嘉诚 (365억 달러, 포브스 39위)

93세로 홍콩의 최고 부자이다. 1979년 영국 소유의 和记黄埔를 인수하였고, 1999년부터 15년 연속 포브스 선정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중국인으로 선정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대 중국 비즈니스 인물 중 한 명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