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내 직업학교 1만1200개, 세계 최대 직업교육 시스템 구축

'1만2000개'

중국의 직업학교 숫자다.

중국도 대표적인 '학력 인플레이션 국가'다. 부모 모두가 아이를 교육시켜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만들려 한다.

하지만 좋은 일자리가 뭔지는 쉽게 알기 힘들다. 

당장 월급도 많이 줘야 하지만, 사회적 지위도 높아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잘래다. 향후 40년간 그 일자리의 우수성이 보장돼야 한다.

이쯤 되면 안다. 그런 일자리가 어디 있을까? 사실 누구도 보장할 수 없는 게 좋은 일자리는 것이다. 이에 동원되는 게 과거 경험치다.

중국은 전통적인 동양의 관료 국가다. 

나라 일을 하는 직업, 나라가 보는 고시를 본 이들은 다 잘 됐다. 자연히 더 가르치려는 게 부모 마음이고, 자연히 사회에 고학력자가 넘쳐나게 된다.

학력 인플레이션 심리는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지만 이쯤 되면 사회를 망치는 독이 된다.

누구나 공부를 해서 가벼운 노동을 천시하게 되는 경향이 팽배해지기 때문이다. 노동의 천국이라는 중국의 현실이다.

그 넓은 중국에 전문 노동자를 양성하는 직업 학교는 달랑 1만2000개에 불과하다.

현지 중국 매체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직업학교 1만 1200개, 재학생 2915만 명이 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직업교육 시스템을 구축했다.

중국 당국 관계자는 "중고등직업학교는 매년 1000만 명 정도의 고급 기술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 3년간 누적 413만 3000명을 증원하며, 1만여 개 직업학교에서 매년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직업교육과 성인교육 담당자에 따르면, 국민교육 체계와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한 부분으로, 최근 직업교육의 적응성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현대 직업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가속화되어 경제사회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양질의 인적자원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중국 전국의 직업학교에는 1300여 개의 전공과 12만여 개의 전공이 개설돼 국민경제 각 분야를 망라하고 있어 중국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공업 분야를 모두 보유한 국가가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다. 현대제조업·전략적 신수종·현대서비스업 등 분야 신규 취업자의 70% 이상이 전문대 출신이다.

또한 정부는 전 국민이 평생 학습할 수 있도록 풍부한 자원을 제공한다. 중앙재정은 직업교육 국가전문 데이터베이스 건설을 10년째 지원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3월 '국가직업교육 스마트교육 플랫폼'을 오픈해 19개 전공, 396개 고위직 전공을 망라하고, 2000여 개 동영상 공개수업, 420여만 건의 동영상·사진·문서 등을 모아 전 국민 학습에 충분한 디지털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당국자의 화려한 설명 이면의 숫자는 중국의 미래의 노동시장 왜곡이 어느 정도 심각할지 짐작케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중국 현지 공장은 빠르게 노동인력을 노동로봇으로 대체하고 있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 지역연구센터 센터장은 "중국의 학력 인플레이션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면서 "노동 현장의 인력부족 현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