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바라지 마라, 속박이 된다. 행운 행(幸)



 

 

모두가 바라는 게 있다.

행복이요,

행운이다.

 

하지만 행복이 뭔지, 행운이 뭔지

정작 바라면서

그게 뭔지 모른다.

 

그러니 진정 행복이,

행운이 뭔지

사람들은 모른다.

 

그게 뭔지 모르니

와도 그게 뭔지

알 길이 없다.

모르니 왔다한들

붙잡을 길도 없다.

 

왔는지,

스쳐

지나쳤는지.

모르고

그저

바라는 게

행운이요, 행복이다.

왔는지, 갔는지

모를 행복, 행운을

한 없이

바라기만 하니

행운이 올 일이 없고

행복할 일은 더더욱 없다.

 

수천년 경험 속에

선인들이 남긴

진정한 행운, 행복을

얻는 비법이 있다.

비밀은 바로 행(幸)자에 있다.

갑골문 행(幸)은 상형자다.

어떤 물건을 본 딴 것이다.

 

진정한 행복의,

행운의 비밀을

담은 물건이다.

 

행 자가 본 딴 물건은

바로 수갑이다.

나무와 밧줄로 만든

고대의 수갑이다.

 

가운데 밧줄 부분에

손을 넣고

양쪽 막대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손이 묶여

움직이지 못하는 수갑이다.

 

 

수갑이 어떻게

행운이요,

행복일까?

 

학자들은 모양이 비슷한

수갑의 글자와 길하다는 뜻의 글자가

서로 혼용해 쓰인 결과라

한다.

 

하지만 우연인지

필연인지

그런 혼용 덕에

행운에 대한

절묘한 철학적 가르침이

행운의 행(幸)에

깃들게 됐다.

 

돌이켜 보라. 행운과 행복은

바라는 순간

그 순간부터

나를 속박하는 수갑이 된다.

 

바라지 마라

행운은

행복은

이미 네 곁에

있는지 모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