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세계 철강 브랜드 가치 순위 Top 10, 중국 7·9위 차지

철의 시대는 지고 있지만, 여전히 세상에서 가장 귀한 물질 중 하나다.

세상의 거의 모든 건축물에 철이 들어간다. 여전히 철이 없으면 세상은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기 힘들다.

탄소가 수많은 가공물을 통해 철의 위치를 위협하고 있지만 철이 없으면 세상도 없다.

영국 브랜드 평가업체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2022년 세계 철강 브랜드 가치 Top 50'를 발표했다. 브랜드 가치가 발표되긴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서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소유자가 시장에서 브랜드를 허가함으로써 얻는 순 경제적 이득으로 산정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 가치/연 성장률)

 

1위 BHP(영국), 73.80억 달러/+48.1%

 

2위 GLENCORE(스위스), 48.44억 달러/+9.3%

3위 포스코(한국), 44.75억 달러/+52.6%

4위 ArcelorMittal(룩셈부르크), 40.35억 달러/+8.1%

5위 Rio Tinto(오스트레일리아), 33.35억 달러/+9.7%

6위 Nippon Steel(일본), 33.33억 달러/+5.9%

7위 BAOWU(중국), 27.09억 달러/+18.5%

8위 Vale(브라질), 25.56억 달러/+14.7%

9위 China Shenhua(중국), 23.94억 달러/+15.4%

10위 Thyssenkrupp(독일), 23.00억 달러/+32.5%

 

1위는 영국의 BHP가 차지했으며 브랜드 가치 73.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연 성장률은 48.1%로 굉장히 높은 수치이다. 한국은 포스코가 3위를 차지했다. 포스코는 작년 국내 철강사 브랜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중국은 BAOWU와 China Shenhua가 각각 27.09억 달러와 23.94억 달러로 7위와 9위를 차지했다. 연 성장률이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성장률 50%를 웃도는 타 기업과 비교했을 때 분발이 필요해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