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이 선호하는 아동 신발 브랜드 Top 5

'맨발의 의사'

중국의 과거 개혁개방 이전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단어다. 마오쩌둥이 권력을 잡은 직후 중국의 농촌이 가난하고 의료 시설이 없자, 베이징에서 공부하는 청소년들에게 침술만 가르쳐 시골로 내려보내 봉사하는 삶을 살도록 했다.

청년들은 침통  하나만 들고 산골 마을들을 돌아다니며  의술을 펼쳤다.

의술이라고 할 것도 없었다. 그저 아프다면 혈을 짚어 침을 놓는 게 전부였다. 그 청년 의사들이 정부에게 받은 것은 침통 하나와 침술 교본 정도였다.

신발이 없어 산골 마을들을 맨발로 다녀야 했다. 그래서 나온 별명이 '맨발의 의사'다.

그러던 중국이 개혁개방과 함께 산골 빈촌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아담 스미스가 말한 국부만이 가난을 내쫓는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증명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중국 사람들은 맨발의 청춘이 억울이라도 한 듯 자신들의 아이에게 각종 고급 신발을 사다 신키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은 과거에 진행된 한 자녀 정책의 영향으로 '소황제'라는 말이 생겨날 만큼 자식을 황제처럼 키우는 경향이 있다.

많은 중국 부모들이 자녀의 의식주 및 교육에 굉장히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에서는 어떤 아동 신발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살펴보자.

 

1. Dr.kong 닥터콩

Dr.kong는고객의 니즈를 잘 파악하는 브랜드이다. Dr.kong는 아동 나이에 따라 발 모양이 빠르게 달라지고, 이 때문에 신발 구매에 있어서 니즈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잘 파악했다. Dr.kong는 처음으로 Check & Fit 서비스를 시작했다. Check 서비스는 전문적인 방법으로 발 모양을 측정하는 것이고 Fit서비스는 이에 따라 자신과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다.

2. Ginoble 지노블

0-18개월 유아, 1-5세 아동, 5-10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신발 브랜드이다. 기능성 신발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다.

 

3. TARANIS

TARANIS는 "건강, 편안함, 트렌드"를 브랜드 이념으로 많은 고객을 창출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0-16세 아동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4. Katetu 카태투

Katetu는 "어린이의 모든 걸음과 함께"를 사명으로 두고 있다. "산업-연구-의학"의 융합을 기반으로 고품질, 고성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과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아동 신발을 생산하는 것을 강조하는 브랜드이다.

 

5. NIKE 나이키

NIKE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브랜드이다. 의류, 신발, 운동기구 등 스포츠 용품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