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SMIC(중신궈지,中芯國際)의 지난해 매출이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다. 중국의 반도체 자급자족이 여전히 쉽지 않은 모습이다. 미국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나서자, 중국은 반도체 안정 수급을 위해 자급자족 노력을 경주했다. 하지만 야심차게 출범했던 업체들이 도산하는 등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SMIC의 작년 4분기 매출은 16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는 2.6% 늘었으나 3분기보다는 15% 줄었다.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 줄어든 4억2550만 달러였다. 또 SMIC의 작년 연간 매출은 전년보다 34% 늘어난 72억7000만 달러로, 시장 전망치 73억5000만 달러보다 낮았다.로이터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 침체 속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수요 둔화의 영향을 받아 올해 SMIC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 1분기 매출은 작년 4분기보다 최대 12%가량 감소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대표하는 SMIC는 현재 상하이, 톈진 등지에서 성숙 공정에 해당하는 28나노미터(1㎚=10억
미국 오픈AI의 '챗GPT'가 불붙힌 AI(인공지능) 검색 경쟁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阿里巴巴)도 뛰어들었다. 경쟁이 더욱 가열되는 모습이다. '챗GPT'는 AI 검색 기술을 도입해 온라인의 지식을 AI가 검색해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등장하고 일반인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검색 서비스 '구글' 천하가 위협받는 상황이 됐다. 알리바바는 8일(현지시간) '챗GPT'와 유사한 대화형 챗봇을 내부적으로 시험 중이라고 발표, 생성형 AI(인공지능) 개발 경쟁에 본격적으로 가세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지난 몇 년간 '거대언어모델'과 '생성형 AI'를 집중적으로 개발해 왔다. '거대언어모델'은 AI가 엄청난 분량의 문서를 학습한 후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서를 생성해내는 자연어 처리 체계를 말한다.지난해 미국 시장조사업체 가트너(Gartner)의 'AI 서비스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언어AI 영역에서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알리바바 자회사인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는 중국 최초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로, 전 세계 27개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80여 개를 운영하고 있
글로벌 열풍이 불고 있는 미국 오픈AI '챗GPT'의 성공으로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실리콘밸리 대표주자들이 뛰어든 데 이어 중국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까지 가세했다. 중국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세계 선두 그룹에 속한다. 14억 명에 달하는 인구를 기반으로 자국내에서 생산하는 막대한 빅데이터 덕에 인공지능의 학습, 이른바 딥러닝이 최적화된 곳으로 통한다. 구글과 MS 역시 글로벌 이용자들의 빅데이터를 활용하며 분야의 선두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중 경쟁이 가속화하는 셈이다. 7일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는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인 '어니봇'(Ernie Bot)를 다음 달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어니봇의 기반인 AI 어니는 2019년 개발된 AI로 구동되는 거대 언어 모델이며, 언어 이해와 언어·이미지 생성 등 작업 수행 능력을 점차 높여왔다. 바이두는 어니봇의 내부 테스트를 완료하는 대로 다음 달 중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바이두 주가는 이날 오후 4시께 15% 급등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바이두가 다음 달 AI 챗봇을 독립
미국 개발사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중국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급등하고 있다. 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AI 업체인 '베이징 딥글린트 테크놀로지'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49.54% 뛰어올랐다. 지능형 패턴인식 기술기업인 '한왕 테크놀로지'의 주가 역시 올해 들어 50.92% 치솟았으며, '클라우드워크 테크놀로지' 주가도 올해 들어 50%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중국 AI 기업들의 주가는 불확실한 업황과 적자 지속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 말부터 '제로 코로나' 해제 기대감이 촉발한 강세장에서는 소외됐다. 그러나 최근 챗GPT의 열풍에 힘입어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미국의 주요 투자자들이 중국 AI 업체들에 최근 수년 간 수십조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로이터통신은 조지타운대 기술정책 연구조직인 안보·신기술센터(CSET) 보고서를 인용해 2015∼2021년 중국 AI 기업 대상 투자의 상당 부분이 미국 기업에 의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미국 투자자 167곳이 중국 AI기업 투자 거래 401건에 참여했다. 미국 기업이 참여한 투자는 이 기간 중국 AI 기업이 조달한 총
'34.6%' 올 1월 중국 자동차 판매의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이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은 소비 촉진을 위해 자동차 판매에 각종 세제 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이 같은 세제 지원이 종료되면서 승용차 판매량이 급감한 것이다. 31일 중국 승용차연석회의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1월 중국의 승용차 소매 판매는 136만 대로, 전월 대비 37.3%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34.6% 줄어든 수치다. 이 중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판매는 36만 대로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했으나 전월보다는 43.8% 급감했다. 1월 승용차 판매 감소는 각종 세제 지원책의 종료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취득세 감면과 신에너지차 보조금 지원이 중단되자 소비자들의 자부담이 커지면서 구매 심리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봉쇄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타격을 받은 자동차 판매 촉진을 위해 6월부터 12월까지 한시적으로 배기량 2000cc 이하, 판매가격 30만 위안(약 5480만 원) 미만의 소형 자동차 취득세를 50% 감면했다. 또 애초 2021년까지였던 신에너지차 구매 보조금 지원도 작년 말까지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滴滴出行)이 신규 사용자 등록을 재개한다고 16일 밝혔다. 디디추싱은 중국이 내놓은 모바일 혁신 기업이다. '중국판 우버'로 인기를 끌었지만 보안 문제가 불거지면서 중국 당국의 전방위 규제를 받아 왔다. 디디추싱이 미국 상장을 추진하면서 중국 당국의 미움을 샀다는 설도 있다. 이번 신규 사용자 등록 재개로 부활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디디추싱은 이날 소셜미디어 웨이보 계정을 통해 "지난 1년여간 국가 사이버 보안 심사에 진지하게 협력하고 심사에서 발견된 보안 문제를 전면적으로 시정했다"며 "사이버보안심사판공실 동의를 얻어 신규 사용자 등록을 즉시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디디추싱이 당국 규제에서 풀려난 것은 중국 지도부가 2023년 경제 회생을 위해 지난해 연말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밝힌 민영경제 중시 및 플랫폼 기업 장려 기조와 관련 있어 보인다. 최근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이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에 대한 지배권을 포기한 후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저장성 항저우 정부가 지난 10일 알리바바와 '전략적 협력'을 심화하는 협정을 맺은 일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디디추싱은 2021년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 중국의 반도체 자립을 위한 또 하나의 기반 시설인 '전자부품·반도체 국제무역센터'가 건립됐다. 반도체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제조 생산품이 되고 있다. IT 혁명으로 사물인터넷이 구현되면서 이를 가동하도록하는 기본 제품으로서 반도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때문이다. 이미 반도체 없는 자동차가 없고 반도체 전자 제품이 없다. 집이나 가구 속으로 반도체들이 속속 들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중이 서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잡으려 힘쓰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글로벌 영향력을 발휘해 중국에 대한 반도체 공급을 제한하려 하고 있고, 중국은 자립 생산 체제를 갖추려 노력하고 있다. 선전시는 중국의 반도체 자급자족의 선봉 도시다.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선전시 쳰하이 경제구역 내 '전자부품·반도체 국제무역센터'가 지난달 30일 사업인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센터는 선전 지방정부 기금인 선전투자홀딩스가 가장 많은 7억6000만 위안을, 중국전자(CEC)와 자회사 중국전자정보서비스가 각각 3억8천만 위안을 투자하는 등 국영·민간 기업 12곳이 21억 위안(약 3900억 원)의 초기 자본금을 마련했다. SCMP
'40억9000만t' 올 1~11월 중국 석탄 생산량으로 역대 최고치다. 중국은 글로벌 사회의 '탄소 넷 제로(Net Zero)'에 호응해 석탄을 줄이기로 했는데, 오히려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로 늘어난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유가가 급속히 치솟는 상황에서 중국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자국의 이익 앞에 글로벌 공동선의 추구는 항상 뒷전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30일 "올해 1∼11월 중국의 석탄 생산량이 40억9000만t으로, 작년 동기 대비 9.7% 늘어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보도했다. 올여름 60여 년 만에 닥친 혹독한 가뭄과 폭염으로 수력 발전 거점인 쓰촨의 수력발전소들이 전력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서 화력발전소 가동을 확대한 것이 석탄 생산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의 석탄 생산은 산시(山西)성, 산시(陝西)성, 네이멍구(內蒙古),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등 4대 석탄 기지가 전체의 81%를 차지한다. 특히 중국 석탄 생산량의 33%를 차지하는 산시(山西)성은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총 13억t을 생산, 2년 연속 1억t 이상 증산했다. 인민일보에 따르
기술은 산업의 미래다. 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기술이 높을수록 부가가치가 는다. 그런 기술의 정도를 보여주는 게 특허다. 기술 특허, 특히 유효 특허수는 한 기업의 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바로 이런 점에서 중국 기업들의 '기술 굴기'가 눈에 띈다. 그동안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중국 기업들은 제조 담당이었다. 기술은 미국 등 서구회사들이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은 각 분야, 특히 IT(정보통신)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며 글로벌 리딩그룹에 하나 둘씩 안착하고 있다. 최근의 미중 갈등도 바로 중국의 이 같은 '기술 굴기' 탓이다. 중국은 강력한 제조 기반을 유지하면서 기술까지 확보하고 있다. 과거 미국 기술로 중국이 만들어 팔아 7대3 정도의 비율로 수익을 분배했다. 재주는 중국이 넘고, 돈은 미국이 챙긴 셈이다. 하지만 중국의 '기술 굴기'는 이 같은 구도를 바꾸고 있다. 수익의 모두를 중국이 가져가는 일이 생기고 있는 것이다. 중국 기업 기술은 커촹반(科创板) 상장 기업들의 특허 수에서도 잘 드러난다. 커좡반은 중국 정부가 상하이증권거래소에 개설한 기술혁신주 전문 시장이다.
중국 여성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여성들만이 아니다. 남성들도 피부 관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 미용 시장의 미래가 보이는 대목이다. 일단 중국은 황사로 유명하다. 사막의 먼지를 가득 안고 불어오는 바람이다. 더욱 무서운 것은 이 바람 속에 도심의 스모그가 더해진다는 사실이다. 호흡기 건강도 문제지만, 당장 노출되는 피부에도 큰 위협이다. 특히 건조한 겨울 날씨에는 피부가 푸석해지고 민감해지기 쉽다. 코로나19로 마스크까지 써야 하기에 더 세심한 피부 관리가 필요하다. 중국 화장품 소비자들 역시 푸석해지는 피부결을 보호하고 화장이 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겨울철에는 화장품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한다. 토너는 세안 후 스킨케어 효과를 위해 바르는 기초 화장품의 하나다. 피부에 특별한 영양을 공급한다기보단, 세안 후 남아있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결을 정돈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토너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 프레시 로즈 딥 하이드레이션 페이셜 토너 순수 장미 추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모공을 부드럽게 클렌징 해주는 제품이다. 번들거림이 많은 피부에 적합하다. 2. WUN(温漾) 토너 많은 중국 뷰티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