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민들이 홍콩을 떠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의 홍콩 자율권을 침해하자, 고향을 등지는 것으로 항의하는 것이다. 지난 1년간 대략 9만명 가량이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해 6월30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1년간 홍콩 거주권자 약 9만명이 홍콩을 떠났다. SCMP의 이번 보도는 12일 이뤄진 홍콩 정부 발표 자료를 인용한 것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중반부터 올해 중반까지 1년간 홍콩 인구는 1.2% 줄었다. 거주권자 8만9천200명이 홍콩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19년 중반부터 2020년 중반까지 2만900명의 거주자가 홍콩을 떠났다. SCMP는 "홍콩보안법 시행 후 이민 물결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 2003년 중반 이후 홍콩인구는 매년 꾸준히 0.2~1.1%의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중반이후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홍콩 인구는 지난해 중반 750만명을 기록했으나, 현재 739만명이다. 코로나19 사망자는 212명이었다. 코로나에 따른 인구 감소는 결국 홍콩 보안법보다 인구 감소 효과가 적었
'중국 공산당의 질투?' 중국 당국이 이번엔 온라인 팬클럽들에 대한 단속에 나섰다. 중국 당국은 그동안 온라인 문화 정화에 힘써왔다. 사회 풍속을 바로 세운다는 미명에서 실시된 이 온라인 규제는 반사회적인 모든 문화활동에 대한 규제로 이어지면서 반인론 논란도 낳고 있다. 이번엔 온라인 팬클럽 활동에 대해 규제가 강화되면서 '공산당이 질투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12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은 아이돌 온라인 팬클럽에 대한 집중 단속을 통해 15만여 개의 '유해 콘텐츠'를 삭제했다. 또 온라인 팬클럽과 관련한 4천여 개의 계정에 대해 처벌 조치를 취했다. 이번 규제를 통해 '중국판 트위터'로 불리는 웨이보(微博)의 '스타 파워 랭킹 리스트'라는 계정이 폐쇄됐다. 그동안 청소년들은 이 계정을 통해 자신들이 좋아하는 아이돌의 인기 순위를 높이기 위해 경쟁을 벌여왔다. 앞서 CAC는 지난 6월부터 온라인 상의 팬클럽 활동 등 여론 조작 활동에 대해 집중 단속에 들어갔다. 또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규제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중국의 관영 매체들은 팬 문화를 '긍
중국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금속 화폐 주조 작업장이 확인됐다. 기원전 640~550년경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0일 현지매체 허난(河南)일보에 따르면 정저우(鄭州)대학 고고학팀 등은 최근 학술지 '고물'(古物·Antiquity)에 허난성 유적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적지는 허난성 싱양(滎陽)시 관좡(官庄) 유적이다. 이 곳은 최근 중국 현지 매체들에 의해 수차례 소개됐지만, 종합적인 연구 결과가 최종 발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최근 몇년간 관좡유적에 대한 탐사·발굴해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관좡 유적은 대규모 수공업 작업장이었다. 이 곳에서는 특히 중국 초기 금속화폐와 화폐 주조틀이 나왔다. 연구침은 화폐와 주조틀의 모양이 일치하는 만큼 해당 화폐가 이 유적지에서 생산된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팀이 방사선탄소연대 측정결과 이 구리 주조작업장은 기원전 814~750년 시작해 약 150년간 청동그릇·무기·마차부품 등을 생산했다. 이번 방사선탄소연대측정은 미국 기관인 '베타 애널리틱'이 진행했다. 국제 학회에서 인정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화폐 주조장으로 공인된 셈이다. 금속화폐 생산은 비교적 늦은 시기인 기원전 640
중국 야생 코끼리떼가 드디어 고향으로 돌아간다. 서식지를 떠난지 17개월여만이다. 대략 1000㎞ 넘게 북쪽으로 이동한 뒤 다시 남쪽 서식지로 방향을 돌린 것이다. 야생 코끼리는 그 수가 적어 보호종이다. 이 코끼리 떼의 장기 여행은 드문 일이어서 세계적인 관심이 쏠렸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0일 코끼리 14마리는 지난 8일 밤 중국 서남부 윈난(雲南)성에서 위안장(元江)강을 건너 남쪽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원래의 서식지를 향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야생 코끼리 떼의 이례적인 대이동은 지난해 3월 시작됐다. 16마리가 서식지인 윈난성 남쪽 시솽반나(西雙版納) 자연보호구에서 떠나 북쪽으로 나아간 것이다. 가는 도중 새끼 1마리가 태어나기도 했다. 무리 가운데 3마리는 무리를 떠나 이 중 한 마리는 이미 서식지에 돌아와 있다. 이들 코끼리는 윈난에서 성도인 쿤밍(昆明)을 포함해 5개 도시를 지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해 7월에는 푸얼(普洱)에 진입했고 올해 4월 16일 위시(玉溪)에 진입했다. 윈난성 임업초원국에 따르면 코끼리들이 4월 16일 이후 110여 일간 1천300㎞를 이동했다. 코끼리들이 이동하는 사이 사람과 코끼리의 충돌을 막
중국의 도쿄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타는 리무진을 선물로 받았다. 시 주석 차로 알려진 '훙치'(紅旗)를 선물로 받은 것이다. 중국 이치(一汽·FAW) 자동차 그룹은 최근 소셜미디어에 도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모든 선수에게 훙치 H9 차량을 1대씩 선물한다고 공표했다. 개인 종목과 단체 종목 금메달리스트 전원이 대상이다. 은메달과 동메달을 딴 선수들에게도 H9 사용권을 준다. 훙치 H9의 가격은 39만9천800위안(약 5천500만원)∼53만9천800 위안(약 9천500만원) 가량이다. 훙치는 붉은 깃발이라는 뜻이다. 붉은 깃발은 중국 공산당의 상징이다. 훙치는 1958년 중국에서 내놓은 첫 고급 차량이다. 마오쩌둥(毛澤東) 등 중국 지도자들이 훙치를 이용했다. 훙치는 현 지도부 출범과 함께 다시 지도부가 이용하는 주요 차량으로 이용되고 있다. 열병식 행사 등에서 자주 보인다. 시 주석이 타는 훙치는 L5 모델이다. 가격이 500만 위안(약 8억8천만원)이다.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중국은 금메달 38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18개를 땄다. 메달 순위로 미국에 이어 2위다. 중국은 이번 올림픽에 남다른 신경을 쓰고 있다. 내년 2월 '2
미국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우한 기원설을 주장하자, 이번엔 중국에서 미군 실험실 기원설이 힘을 얻고 있다. CNN은 6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군기지 포트 데트릭 내 미국 육군전염병의학연구소(USAMRID)에서 유출됐다는 주장이 다시 번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주장은 지난해부터 중국 정부 관계자들과 관영 매체가 반복적으로 제기해왔다. 미국의 중국 우한 연구실 기원 의혹 제기에 대한 반대 여론 공작으로 보인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외교사절과 선전기구 등을 동원해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군 실험실을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관영매체 환구시보가 펼친 'WHO의 포트 데트릭 실험실 조사' 요구 서명운동에는 약 2500만명이 참여했다. 앞서 중국중앙방송(CCTV)은 지난 1일 관련 의혹제기를 담은 '포트 데트릭의 어두운 내막'이라는 제목으로 30분짜리 방송을 내보냈다. 중국 현지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관련 해시태그가 핫토픽 상단에 오르고 동영상 조회 수가 4억2천만을 기록했다. 그만큼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은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코로나 19를 미국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과거 도널드 트럼프 전
4만 9처년전의 소행성과 충돌 흔적이 중국 동북 지방에서 발견됐다. 흔적은 직경 1.85km, 깊이 579m 규모 운석구덩이(크레이터)다. 최근 지구 10만년의 역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운석 충돌이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6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廣州) 지구화학연구소와 오스트리아 빈대학 연구진이 공동으로 이 운석 구덩이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 '운석학과 행성과학'에 발표했다. 운석 구덩이는 헤이룽장성 이란(依蘭)현에서 확인됐다. 운석구덩이는 보기 드문 초승달 모양이다. 전체 테두리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남쪽 부분은 자연적으로 없어졌다. 당시 운석 충돌은 최근 10년간의 최대 규모였던 것으로 분석됐따. 광저우 지구화학연구소 천밍(陳鳴) 연구원은 "자료분석 결과 당시 천체 충돌은 최근 10만 년간 지구상에서 발생한 것 중 최대 규모였다"고 말했다. 연구에 따르면 당시 직경 100m 정도의 소행성이 초고속으로 지표면과 충돌했다. 이로 인해 티엔티(TNT) 1천만t의 폭발보다 큰 폭발이 생겼다. 천 연구원은 충돌이 발생한 4만9천 년 전은 구석기시대 중기 말이라고 추정했다. 당시 헤이룽장성 중남부에는 초원·삼림이 발달하고 인류를 비롯
중국이 다시 한번 '가짜 뉴스'에 대한 단속에 재차 나섰다. 그동안 중국은 '가짜 뉴스'와 전쟁을 선포하면서 온라인 단속을 강화해왔다. 이번에는 중국 당국이 아예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가운데 나와 우려를 더하고 있다. 5일 신랑재경(新浪財經)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가 주요 규제기관들과 함께 가짜 뉴스 단속 방안을 검토하고 시작했다. 이번 단속에 참여하는 규제기관에는 최근 최고인민법원, 최고인민검찰원, 공안부, 국가세무총국, 국가시장감독총국 등이 참여한다. 그 어느 때보다 단속의 강도가 강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들은 중국 규제기관들은 인터넷 뉴스의 위법 및 규정 위반 활동을 엄중히 단속하고 불법행위에 대해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입장이다. 단속 대상은 언론사뿐만 아니라 각종 인터넷 플랫폼과 공공 계정 등이다. 또 인증받지 않은 사회조직과 1인미디어의 불법적인 뉴스 활동이다. 중국에서는 뉴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번 단속의 핵심이 소셜미디어(SNS)에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온라인이 발달하자, SNS에서 활동하는 시민기자 인기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또 중국 대륙의 소심함이 도졌다. 대륙에서 활동하던 타이완의 유명 연예인 쉬시디(徐熙娣)가 도쿄 올림픽에서 타이완 선수들을 응원하다 대륙 네티즌들의 미움을 샀다. 중국에서 광고가 줄줄이 끊겼다. 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쉬시디는 지난주부터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타이완 선수들을 응원하는 글을 연이어 게재했다. 쉬시디는 샤오S(小S)라는 예명으로 대륙에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가수 출신의 TV쇼 진행자로 중국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결국 중국 네티즌들의 심기를 건드렸다. 특히 쉬시디가 전날 남긴 여자 배드민턴 단식 결승전 평이 논란이 됐다. 당시 경기는 타이완 배드민턴 선수 다이쯔잉(戴資穎)이 중국 선수에 패배한 경기였다. 평가는 간단했다. "졌지만 영광스럽다. (경기를 보다가) 죽을뻔했다"는 소감이다. 대륙 네티즌들은 다이쯔잉이 과거 타이완 독립을 지지했다는 사실을 꼬집으며 쉬시디의 응원이 타이완 독립을 응원한 것으로 치환했다. 무엇보다 중국 언론들은 특히 쉬시디가 '국가대표 선수'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점을 문제삼았다. 중국에서 쉬시디에 대한 반감이 커지자 그를 광고모델로 썼던 브랜드들은 재빨리 계약 해지에 나섰다. 회사로 불똥이 튀는 것을 막자는
결국 중국 당국이 출산 장려를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30일 텅쉰(騰迅·텐센트) 등에 따르면 중국 쓰촨(四川)성 판즈화(攀枝花)시는 최근 둘째와 셋째 자녀를 낳은 주민의 가정에 매달 자녀 1명당 출산 보조금 500위안(한화 8만8천여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중국내 첫 출산 보조금 지급 조치다. 판즈화시는 줄어드는 노동인력 보강을 위한 '인력 자원 유치 대책'을 내놨다. 이 출산 보조금은 부부 모두가 판즈화시에 호적을 둔 경우 지급된다. 자녀가 3세까지 지급받을 수 있다. 판즈화시의 정책은 조만간 다른 도시들로 점차 확산할 전망이다. 중국 전 매체가 대대적으로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중국의 출산 문제 전문가들은 교육, 주택, 취업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도시 가정에서 다자녀를 기피하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출산 보조금 지급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해왔다. 이미 중국 정부 차원에서도 세제 혜택과 주택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출산장려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3세 이하 영유아 돌봄 비용에 대한 소득 공제를 해주기로 하고 개인 소득세법 개정에 착수했다. 지방정부의 공공 임대주택을 임대도 어린 자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