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억2300만 위안' 한화로 약 15조 6659억 원에 달한다. 지난 1~5월 간 중국 구이저우성 빅데이터 분야 프로젝트 투자액이다. 구이저우성은 중국에서 신 산업인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는 지역이다. 이번 투자액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폭이 60%에 육박한다. 공산 독재 정부 시스템의 중국은 최대 장점이 정부 목표에 따라 국가의 모든 자원을 강제로 동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게 전기자동차 산업이 그렇다. IT와 반도체 분야도 마찬가지다. 중국 정부가 나서 짧은 시간에 세계적 수준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고 있다. 빅데이터 산업 발전 기반에서 중국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전체 인구 14억 명 가운데 10억 명이 매일 인터넷을 쓰면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이런 황금시장을 중국 당국은 정보 보안을 이유로 내세워 철저하게 외국 기업들의 진입을 차단해왔다. 구이저우성이 추진하는 빅데이터 산업 프로젝트가 인기를 끄는 이유들이다. 5일 중국 현지 구이저우일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구이저우성의 빅데이터 분야 프로젝트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월 구이저우성 빅데이터 분야의 총 투자액은 1
중국 지린성 창춘을 거점으로 하는 이치자동차(中国一汽)가 올해 1~5월 지난해 동기 대비 153% 증가한 2만8200대 차량의 수출을 달성했다. 이는 2023년 중국 자동차 산업 국제화의 상징적인 수치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전기차를 중심으로 가성비를 최대 장점으로 내세우며 세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과거에도 중국 자동차들의 국제화 시도는 없던 게 아니었지만, 글로벌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이 구축한 시장 장벽을 넘기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중국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기차 분야에서 일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이 같은 명성을 통해 'B급 자동차'란 부정적 이미지 탈출에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이치자동차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1~5월 이치자동차의 3대 브랜드가 해외 판매 실적에서 모두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그 중 홍치(红旗) 브랜드의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16% 증가한 4071대, 제팡(解放) 브랜드는 92% 증가한 14013대, 뻔텅(奔腾) 브랜드는 124% 증가한 5726대를 달성했다. 2022년 말 기준, 이치자동차의 해외 사업은 유럽,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 등 세계 85개국에 걸
'5310억 위안' 한화로 약 95조 6330억 원이다. 중국 인터넷 기반 기업들이 올들어 5월까지 달성한 매출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3%가량 늘었다. 사실 중국의 인터넷 산업은 중국 네티즌 수의 증가세가 완만해지면서 '시장 성숙기'에 들어섰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총 규모가 워낙 커 한 자릿 수의 증가세라도 그 증가폭은 여타 국가가 따라갈 수준이 아니다. 중국의 인터넷 소비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무역 제도로는 중국내 인터넷 시장에 대한 중국 정부 통제를 견제할 수단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 자유시장주의를 표방한 한국 등 각국이 온라인 시장에 개방적인 데 반해, 중국은 철저한 통제로 중국의 온라인 소비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우위를 보호하고 있다. 3일 중국 현지 베이징일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이하 인터넷 기업)이 5310억 위안(약 95조 633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수치이다. 전반적으로 인터넷 기업의 총 이윤은 빠르게 증가했다. 1~5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기업의 운영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으며 이윤 총액은 576.2
'16조5502억 위안' 한화로 약 3030조 원에 달한다. 중국의 지난 2022년 문화산업의 총매출이다. 전년 대비 1% 가량 성장했다. 지난해 연말부터 중국 당국의 코로나 정책이 변화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1%의 성장이지만 그 금액만 보면, 1700억 위안으로 30조5000억 원을 훌쩍 넘긴다. 중국 문화산업의 규모가 워낙 커져, 성장률로는 크게 둔화하는 지경에 다다랐다는 평가도 있다.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의 문화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을 달성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문화산업의 총 매출은 16조5502억 위안(약 3030조 원 )으로 전년 대비 1678억 위안( 약 30조4500억 원), 1%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문화 신유망 업종 산업의 영업이익은 전체 문화산업 매출의 30.3%를 차지했다. 이는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것으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증가했다. 또 문화 신유망 업종(新业态) 특성이 분명한 16개 산업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50106억 위안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체 문화산업 평균 대비 5.7%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2
'15.2%' 지난 5월을 기준으로 한 중국 장비 제조업의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증가 규모다. 이윤 증가는 회사 자체적인 효율성 개선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지만, 아무리 효율성이 좋다고 해도 생산, 판매량 자체가 늘지 않고는 기본적인 이익 증가 추세를 기대하가는 어렵다. 즉 이윤이 두 자릿수로 늘었다는 것은 새로운 우수한 장비에 대한 사회적 소비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또 새로운 우수한 장비에 대한 사회적 소비가 는다는 것은 사회 인프라 구축이 그만큼 활달하다는 방증이다. 중국은 장비 제조 공급망 분야에서 글로벌 톱 수준의 지위를 구가하고 있다. 중국 사회 인프라 개발의 필수 요소인 장비 제조업이 급속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산업과 기업의 이윤 구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5월 장비 제조업 이윤은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했다.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하여 규모이상 공업 이윤의 4.6포인트 상승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5월 장비 제조업의 이윤이 규모이상 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6%이며 4월에 비해 5.3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시장이다. 중국이 독일 자동차 회사들을 먹어 살렸다는 평이 나온다. 전기 자동차의 상징인 테슬라를 먹여 살리는 곳도 중국이다. 그럼에도 중국 자동차 시장은 계속 성장할 전망이다. 아직 중국 가정의 자동차 보유대수는 1가구당 한 대 미만이기 때문이다. 적지 않은 가정이 조만간 자동차를 보유하려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같은 기대에 부응하듯 중국의 올해 1~5월 자동차 판매 1~10위 업체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7.95% 증가했다. 27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5월 자동차 판매량 상위 10개 기업의 총 판매량은 전체 자동차 판매의 84.9%를 차지했다. 10대 기업 중 비야디(比亞迪, BYD), 베이징자동차, 체리자동차, 지리자동차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하여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또 이치자동차, 창안자동차, 광저우자동차는 지난해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올해 1~5월 신에너지차 판매량 상위 10개 기업의 총 판매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62.8% 증가해 전체 신에너지차 판매량의 85%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3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신에너지차 판매 10대 기
'4조3238억 위안' 한화로 약 785조 원가량이다. 올 5월까지 중국의 소프트웨어업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매출액 총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3% 이상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중국의 IT(정보통신) 굴기는 계속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중국의 IT 굴기는 바로 미국이 가장 바라지 않는 부분이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은 말단 소비재 제조를 도맡아줘야 하는데, 중국이 IT 굴기를 통해 중국 중심의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게 못마땅한 것이다. 사실 한국 입장에서 미국의 이 같은 태도는 그렇게 나쁜 것만도 아니다. 미국이 중국의 기술 굴기를 견제함으로써 한국의 발전 여지는 한동안 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미국이 일본을 견제하면서 한국에게 반도체 산업 육성의 기회가 생겼었다. 26일 중국 공업신식화부(工信部)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 소프트웨어업 및 정보 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업) 매출이 4조3238억 위안(약 78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이윤 총액은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했으며 소프트웨어 사업의 수출 증가율은 소폭 감소했다. 1~5월 중국 소프트웨어업의 이윤 총액은 492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84.05' 중국 중소기업연구소 등이 올해 중국 중소기업 발전 정도를 예상해 내놓는 지수로 전년 대비 6%가량 증가했다. 이 지수는 중국 중소기업 발전에 대한 종합평가다. 전국 31개 성(省)급 지역별 중소기업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한다. 최근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개최된 '신산업화를 배경으로 한 중국 중소기업의 고품질 발전' 심포지엄에서 '2023년 중국 중소기업 번영 지수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 보고서는 저장이공대학 중국중소기업연구소와 중국 공업정보화부 중소기업발전촉진세터가 12년 전부터 매년 발표하는 것으로 중국 중소기업의 발전 정도를 측정하는 바로미터로 꼽힌다. 올해 보고서는 2022년 기초 데이터와 2023년 1분기 중소기업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중소기업은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에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국 중소기업의 올해 종합 경기 연평균 지수는 84.05로 지난해 79.63에서 5.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장 중소기업의 경기 지수는 전년 대비 7% 이상 상승해 중국의 전문 및 신규 기업의 시장 활력이 점차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올해 중소기업 경기 지수를 성별로 살펴보면 광둥
'16만2200위안' 한화로 약 2922만 원이다.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기업들의 기능인재(숙련 기술 인력)이 지난해 받은 평균 연봉이다. 4년래 최대 증가폭이다. 중국의 시장 변화를 예고하는 변화다. 사실 중국이 오늘날 '세계의 공장'이 된 최대 무기는 노동력이었다. 값싸고 우수한 노동력이 바로 세계 주요 회사들이 중국을 찾아 공장을 세우도록 만들었다. 개혁개방 직전까지 모든 것이 낙후한 중국에서는 교육기능 역시 세계 수준에 비해 크게 낙후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교육을 중시하는 중국에서 가정은 중요한 교육 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노동력의 기본은 지시를 수행하는 능력인데, 유교적 전통의 중국 가정들은 순종적인 청년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무엇보다 이 같은 질 좋은 노동력이 싸다는 게 최대 장점이었다. 하지만 이제 개혁개방을 시작한 지 한 세대 이상 지나면서 상황도 바뀌었다.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주요 경제 도시의 노동력 비용은 이미 글로벌 수준을 넘어섰다. 22일 상하이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에 따르면 지난해 상하이시 기업체 기술 인력의 평균 연봉이 전년 대비 9.4% 증가해 최근 4년내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84만 명' 중국의 올해 단오절 연휴(6월 22∼24일) 기간 출입국 인원이 총 38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정도 수준이면 아직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수준을 회복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 정책을 펼치면서 과거 억눌렸던 여행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게 중국 여행업계의 기대였다. 하지만 최근 중국 경제를 짙누르는 침체의 우려가 결국 여행 수요마저 억제하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1일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국가이민관리국은 올해 단오절 연휴에 전국 통상구를 통한 출입국 여행객이 하루 최대 140만 명, 일일 평균 128만 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토대로 추산하면 단오절 연휴 사흘간 총 출입국 인원은 384만 명이다. 이는 코로나19 확산과 봉쇄가 이어졌던 작년 대비 3.2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63% 수준에 해당된다. 국가이민관리국은 베이징 서우두(首都), 상하이 푸둥(浦東), 광저우 바이윈(白雲) 국제공항의 하루 평균 출입국 여행객이 각각 2만8000명, 5만1000명, 2만3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홍콩∙마카오와 인접한 육로 통상구 출입국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