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0만 묘(亩·667㎡)' 중국의 올해 면화 파종 면적이다. 전년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다. 주요 생산지인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단위 생산량은 늘었지만, 창장 유역의 생산량이 줄면서 감소세를 견인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면화 생산국이다. 고려시대 '문익점의 붓' 고사를 보면 중국의 면화 재배가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알 수 있다. 개화기 중국 상인이 글로벌 면화 사재기 투기를 벌이다 면화가 풍년을 맞으면서 가격 폭락으로 망했던 사실도 있다. 중국 경제와 면화가 얼마나 깊은 연관성이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면화 생산량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면화 파종 면적은 4500만 묘(亩·667㎡)로 지난해 대비 41.8만 묘, 0.9% 감소했다. 생산량은 597.7만t으로 전년 대비 24.6만t, 4.3%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올해 전국 면화 단위당 생산량은 132.8㎏/묘로 지난해 대비 6.6㎏/묘, 5.3% 증가했다. 중국 전체 생산량의 약 90%, 세계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단위당 생산량은 143.9㎏/묘로 지난해보다 7.5㎏/묘, 5.5% 증가했다. 창장유역(长江流域)은
'41억 6430만 위안' 중국 시짱자치구(西藏自治区, 티베트)의 올 1~11월 간 수출입 총액이다. 지역 경제 규모를 보여준다. 전년 동기 대비 14% 가까이 성장했다. 이들 지역은 중국에서 독립 색채가 가장 강한 곳이다. 서부의 낙후된 지역이기도 하다. 종교적으로 문화적으로 중국 본연의 색채와 큰 차이가 있다. 그동안 중국 당국은 이 지역을 경제, 문화적으로 중국과 뼛속까지 같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경제적으로 큰 혜택을 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토속문화에 대한 압박으로 인권 문제를 낳았다. 경제적 당근을 주면서도 문화적으로 채찍을 휘두른 것이다. 과연 중국 당국의 의도 그대로 지역 통치가 이뤄질지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11월 시짱자치구의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은 41억 643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다. 수출은 39억 위안으로 1.0배 증가했고 수입은 2억 6200만 위안으로 84.7% 감소했다. 시짱자치구는 올해 세계 94개 국가 또는 지역과 무역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0개가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일대일로 국가와의 무역 거래액은 21억 4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91.5만t' 중국 광둥(广东)성의 올해 곡물 생산량이다. 전년보다 11만t 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 세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애그플레이션, 곡물가 인플레이션을 겪어야 했다. 세계 최대 밀 곡창지를 보유한 우크라이나가 밀 생산과 수출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곡물 부족 사태가 벌어졌고, 각국이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곡물 수출을 중단하면서 세계 곡물가 인상을 부추겼다. 곡물, 먹거리가 국가 전략 물자일수밖에 없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 해였다. 14억 명의 세계 최대 인구를 보유한 중국에게는 더욱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중국 역시 이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자연히 곡물 생산량 증가에 힘을 쏟았다. 올해 광둥성의 곡물 생산이 그 결과다. 중국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광둥성 곡물 생산량은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달성했다. 2022년 광둥성 곡물 생산량은 1291.5만t으로 전년 대비 11.7만t, 0.9% 증가했다. 곡물 파종 면적은 3345.5만 묘(亩·667㎡)로 전년 대비 25.9만 묘, 0.8% 늘어났다. 곡류 작물(쌀, 보리, 잡곡 작물)의 생산량은 386.1㎏/묘로 전년 대비 0.5㎏, 0.1% 증가했다
'2%' 중국의 대표 IT기업 알리바바의 올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예상치이다. 중국 전체 성장률에서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그렇다면 내년 알리바바의 성장은 어떻게 될까? 오를까, 떨어질까? 사실 이 질문은 중국 IT기업 전체, 중국 산업 전체에 적용된다. 중국 경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최근 미국의 경제뉴스 전문방송 CNBC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중국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며, 특히 IT기업의 경우 소비자 지출과 광고 수입이 급감해 텐센트, 알리바바를 포함한 중국 IT 대기업의 시가총액이 수십억 달러 증발했다고 보도했다. CNBC 보도에 대해 중국에선 즉각적인 반박이 나왔다. 현재 소비가 다시 활성화되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경제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중국 경제에 대해 극과 극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일단 중국 외부의 시각은 부정적이고 긍정적인 전망의 중심에는 중국 내부 시각이 있다. 중국 내부 여론은 중국 당국의 입김이 세다. 단순히 믿기 어려운 이유다. 일단 긍정적인 시각들 역시 외부 분석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최근 인용한 곳은 미국의 투자은행인 제퍼리스 금융그룹(JEF)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
'세계 기지국의 30%' 차이나유니콤(中国联通)의 이동통신 기지국 수다. 차이나유니콤은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과 더불어 중국 3대 통신회사로 꼽힌다. 중국의 통신회사 한 곳의 기지국 수가 세계의 30%를 차지하는 수준인 것이다. 중국의 통신 시장 규모가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통신 소비시장을 가지고 있다. 인도가 버금가지만, 인도의 평균적인 국민 생활수준은 중국에 미치지 못한다. 인도는 전체 인구수에 비해 평균적인 삶의 수준이 크게 떨어진다. 부가 일부 계층에 너무 집중돼 있다. 시장 역시 편중돼 있다. 인도가 유능한 인재들을 키워내고 있지만, 반대로 국가 발전에서 한계를 보이는 것도 이 같은 이유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차이나유니콤이 최근 ‘2022년 차이나유니콤 파트너 회의’를 개최하고 사업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국유기업인 차이나유니콤은 올해 차이나텔레콤과의 네트워크 공동 구축 및 공유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5G 공유 기지국 수 100만 개, 4G 공유 기지국 수 110만 개를 달성했다. 연간 운영 비용은 300억 위안, 투자 비용은 2700억 위안을 절감했으며 탄소 배출량 1000만t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이뤄냈다.
중국의 올해 중국의 곡물 생산량이 6억8653만t으로 작년보다 0.5% 증가했다. 올해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세계는 곡물난을 겪고 있다.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에서 밀 생산이 줄어들면서 세계 각국이 곡물 부족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각국은 자급량을 늘리려 하고 있다. 중국 역시 다르지 않다.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를 가진 나라다. 곡물 부족은 중국에게는 거의 재앙에 가까운 일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60년 만의 가뭄, 폭염에도 올해 중국의 식량 생산이 목표치인 6억5000만t을 초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파종기인 지난 3월 밭작물 곡창지대인 동북지역에서 가뭄이 발생했고, 여름에는 벼 생산기지인 창장(長江) 중하류 지역이 1961년 이래 가장 혹심한 폭염과 가뭄에 시달려 목표 달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다만 1무(畝·667㎡)당 생산량은 386.8㎏으로 작년보다 0.2㎏ 감소했다. 콩 생산량은 2028만t에 달해 작년보다 23.7% 급증했다. 소비량의 80%를 수입할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중국의 콩 생산량이 2000만t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수년째 안정적인 풍작은 올해 중국 경제가 하방 압력에 직면한
'215만1000대, 207만5000대' 지난 11월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다. 전년 동월 대비 비교적 크게 줄어든 수치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정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경제는 당국의 강력한 코로나19 방역 봉쇄로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게 일반적인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근 중국 당국의 방역 정책에 대한 변화가 있지만, 경기를 만회하기에 역부족일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히 상존해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11월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215만1000대, 207만5000대를 기록했다. 전달 대비 각각 7.9% 및 7%, 전년 동월 대비 3.9% 및 5.6% 감소했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 감소는 '제로 코로나' 정책의 여파로 분석된다. 당국의 엄격한 방역 정책으로 자동차 생산 차질이 빚어진 가운데 소비심리도 위축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폭스바겐과 혼다자동차 등은 직원들의 코로나19 감염과 물류 차질로 인한 부품 부족으로 생산 중단에 들어갔다. 세단, SUV, MPV, 크로스오버의 생산량은 지난 10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모두 감소했다. 특히 MPV 및 크로스오버의 생산량은 두 자릿수 감소폭을 보였다. 올해 1~11
'5억4200만 가구' 중국에서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는 고객 수다. 중국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은행을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짐작케하는 대목이다. 핀테크 산업은 보안의 완벽성과 편의성이 관건이다. 개인의 소중한 재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이용하기가 편해야 사용자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문제는 보안과 편의성 두 측면이 대척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보안이 강화하면 편의성은 떨어지고, 편의성이 강화되면 보안이 취약해지는 것이다. 이 관계를 극복하는 길은 기술뿐이다. 기술로 둘의 관계를 대척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 놓이게 해야만 하는 것이다. 최근까지 중국에서는 기술 발전이 이 같은 난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래 중국인은 은행도 못 믿어 돈을 땅 속 항아리에 숨겨둔다는 사람들이었다. 예로부터 의심이 많아 쉽게 남을 믿지 못한다. 그런 중국인의 3분의 1가량이 스마트폰의 은행 안전성을 믿고 거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중국의 모바일 뱅킹 이용자는 5억4200만 가구로 작년 동월 대비 12.7% 증가했다. 현재 중국의 대부분 시중 은행에서는 소매 상품에 대해 거의 100%
'1.6%' 지난 11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폭이다. 보통 2% 내로 유지되면 양호한 것으로 본다. 세계 각국이 5%대 인플레이션을 보이는 가운데 나온 수치여서 주목된다. 각국 추세와 달리 중국 물가는 여전히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장바구니 물가인 식품가격 지수 상승폭은 3%를 훌쩍 넘겼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이나 한국에서 보여지듯 5% 수준의 물가 상승폭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이 최근 지급준비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시중에 돈을 풀며 경기 부양에 나서고 있는데, 이 같은 물가 운영의 자신감이 바탕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CPI가 작년 동월 대비 1.6% 상승했다. 10월 상승률(+2.1%)보다는 0.5% 낮았다. 11월 식품 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으나 상승률은 10월보다 3.3% 감소해 CPI 증가에 약 0.68% 영향을 주었다. 비식품 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1.1% 상승했으며 상승률은 10월과 같았다. CPI 증가에는 약 0.88% 영향을 주었다. 로이터통신은 "코로나19 감염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부동산 업계는 빚에 허덕이며 소비
'3조1175억 달러' 4115조 원가량이다. 지난 11월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고다. 전월 대비 2% 이상 늘어난 수치다. 그 동안 이른바 '킹달러'가 판을 쳤다. 글로벌 모든 화폐에 대해 미국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붙은 이름이다. 그런 와중에 중국이 외환보유고를 늘린 것이다. 킹달러는 미국이 인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금리를 높이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간단히 말하면 미 당국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양적완화를 통해 공급했던 달러를 금리 인상을 통해 다시 걷어들이면서 글로벌 주요 투자자들이 들고 있던 각국 화폐를 내던지고 달러로 환전했고, 이에 달러 가치가 천정부지로 치솟은 것이다. 각국의 외환보유고 역시 자연히 줄었다. 11월 들어 킹달러 상황이 조금 완화하면서 각국 외환보유고 역시 조금씩 증가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한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귀환에 따른 것이지만, 중국의 경우 수출 호조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성격이 좀 다르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1175억 달러로 전월 대비 651억 달러(2.13%) 증가했다. 중국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2월 3조2501억 달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