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다. 그 넓은 땅에 그 많은 인구가 자신들의 살 주택을 사고 파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당연히 부동산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영향이 막대하다. 하지만 지난해 헝다그룹의 파산 등 악재가 이어지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 역시 혹한의 불경기로 빠져들고 있다. 헝다의 파산 배턴을 누가 이어받을지 벌써부터 시장 안팎의 소문이 무성하다. 중국의 경제 성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중국의 주택 분양 관련 데이터가 발표됐다.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지난 10월 중국 70개 주요 도시 중 대다수가 분양 주택의 분양가가 하락했다. 70개의 도시 중 신축 분양 주택 및 기존 주택의 분양가가 전월 대비 하락한 도시는 각각 58개 및 62개였다. 분양가가 전월 대비 증가한 도시는 각각 4개 및 1개에 그쳤다. 10월 한 달간 중국 일선(一线) 도시의 신축 분양 주택 분양가는 전월 대비 0.1% 하락해 전월과 같은 하락폭을 보였고, 기존 주택 분양가는 전월 대비 0.3% 하락했다. 2선 도시(二线)의 신축 분양 주택과 기존 주택의 분양가는 각각 03.% 및 0.5% 하락했다. 하락폭은 전월보다
'4조271억 위안' 751조 7790억 원가량이다. 지난 10월 중국의 사회 소비재 총매출액이다. 적지 않은 돈이지만 수치상으로 반가운 것은 아니다. 소폭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감소한 수치이기 때문이다. 사회 소비재는 경제성장 여부를 가늠케하는 중요한 수치다. 사회적인 소비 활동이 늘어야 경제적 부가가치도 늘어나는 법인데, 중국의 이 수치가 감소한 것이다. 중국의 10월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이 4조271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 감소했다. 그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액은 3조6575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0.9%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소비재의 총 총매출액은 36조57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다. 그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의 소매액은 32조370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또한 10월 도시 소비재 소매액은 3조489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6% 하락했으며, 농촌 소비재 소매액은 537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도시 소비재 소매액은 31조264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했으며, 농촌 소비재 소매액은 4조7926억 위
'5억5200만 개' 지난 11일 중국의 택배 처리량이다. 평소보다 배가 많은 수치다. 바로 중국의 유명한 인터넷 할인 쇼핑의 날인 11·11(双11, 쌍십일) 덕이다. 쌍십일은 이전에는 '광군절'로 불리었다. '광군'은 홀아비라는 뜻이다. 11월 11일은 '나 홀로'를 상징하는 '1'자가 무려 4개나 나란히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이 외로운 홀아비의 날을 맞아 대거 할인행사를 시작하면서 쌍십일은 중국 연중 최대 쇼핑의 날로 자리 잡았다. 올해 쌍십일 기간에 중국의 택배 처리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우정국(国家邮政局)의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1일부터 11일까지 중국 전역에서 처리된 택배는 42억7200만 개로, 일평균 처리량이 평소의 1.3배에 달했다. 이 중 11월 11일에는 5억5200만 개의 택배가 처리되어 평소의 1.8배에 달했다. 국가우정국에 따르면 올해 '双11'에 중국 택배 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전체적으로 택배업계가 더 안정적으로 운영됐다. 둘째, 택배 전자 상거래 회사들이 더 밀접하게 협력했다. 빅데이터 등 기술을 활용해 플랫폼 분석을 더욱 강화했고, 상품 배송이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세상은 언제나 움직이는 상위 20%가 바꾼다. 무엇보다 이 20%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은 1%의 천재들이다. 천재들이 새로운 도전에 성공하고, 이를 수재들이 따르면서 세상은 다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것이다. 세칭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장이다. 이 같은 주장은 역사 속에서 대부분 증명되고 있다. 마치 인류 발전의 불변의 법칙인양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중국은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중국몽'의 비전을 내세우며 인재 양성과 확보에 나서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 주요 성시들이 앞다퉈 인재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 결과 지난 10년간 중국 도시 지역의 과학 기술 연구개발 인력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지출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인력 규모를 살펴보면 2020년 징진지(京津冀, 베이징, 톈진, 허베이) 지역의 인력 총 수는 102만14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도시 연구개발 인력의 23.3%를 차지했다. 창장 삼각주(长三角)와 웨강아오 대만구(粤港澳大湾, 광동, 홍홍, 마카오)는 각각 21.26%와 11.82%를 차지했다. 세 개 구역의 연구개발 인력이 전체 규모의 반 이상을 점유한 것이다. 2010~202
'1조 위안(약 190조 원)' 오는 2026년 예상되는 중국 즉시배송 소매 시장 규모다. 중국은 본래 배달 문화가 없었다. 개혁개방과 함께 사설 퀵서비스가 등장했지만 역시 사무적인 배송 업무가 전부였다. 한국처럼 음식 배달 서비스는 없었다. 중국은 본래가 외식을 즐기는 문화다. 중국 음식들의 대부분이 조리 시 연기가 많이 나고 기름을 많이 쓰다보니 아파트 같은 주거시설에서 요리하면 청소하기가 대단히 까다롭다. 그래서 아파트에 사는 가정은 간편한 음식은 집에서 요리하지만 좀 손이 많이 가고 연기가 많이 나는 기름진 요리들은 대체로 식당에 가서 먹는 식이었다. 중국에 음식 배달 문화를 전한 것은 한국이다. 개혁개방과 함께 한국 교민들이 늘면서 한국 음식점들이 생겼고, 자연히 한국식의 음식 배달 서비스가 등장했다. 한국 문화가 인기를 끌면서 배달을 해 가족이나 친한 이들끼리 식사를 즐기는 문화가 만들어졌다. 최근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중국에서 이런 배달 음식 문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배달 문화의 원조격인 한국에서는 수년 전부터 로켓 배송과 새벽 배송 등 다양한 퀵커머스(즉시배송) 서비스가 나타났다. 현재 퀵커머스 서비스는 삶의 필수 서비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다. 세계의 분업화를 통한 공급망에 이상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현상이다. 미국이 자국만을 위한 금리 인상 조치를 하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각국으로 전이되고 있다. 물론 경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미국 정부가 찍어내는 달러가 글로벌 시장의 기축통화 역활을 하면서 나타난다고 하지만, 이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대응이나 대안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달러로 인해 미국 이외 국가들이 희생하는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이 나서 이 같은 달러의 '손오공 머리띠' 현상에서 벗어나고 하고 있지만 쉬워 보이지 않는다. 미국이 당장 중국에 대해 강하게 견제를 하고 있고, 이미 달러 중심의 세계 경제에 익숙한 서방국가들이 연합해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은 어떠한가? 시장의 우려보다는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어서 주목된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이 10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발표했다. CPI는 작년 동기 대비 2.1% 성장했고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PPI는 작년 동기 대비 1.3% 하락했고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22.7%' 중국 후베이성의 올 1~9월간 산업투자 전년동기 대비 증가분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기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중국에서 단연 돋보이는 실적이다. 후베이성에 쏠리는 중국 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대변하는 수치다. 중국 후베이성 경제정보청(经信厅)에 따르면, 올해 1-9월 후베이성의 산업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22.7%, 전월 대비 1.7%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수준보다 11.6% 높은 수준으로, 특히 전국의 고정 자산 투자보다 7.2% 높아 9개월 연속 전국의 고정 자산 투자 수준을 웃돌았다. 3분기 동안 후베이성 8개 도시의 산업 투자 성장률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높았다. 징저우(荆州) 50.6%, 언시(恩施) 37.7%, 황장(黄冈) 37.7%, 스옌(十堰) 33.7%, 센타오(仙桃) 28.9%, 우한(武汉) 24.2%, 셴닝(咸宁) 24.1%, 황스(黄石) 23.5%로 집계됐다. 제조업은 5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후베이성 제조업의 1-3분기 투자는 22.6% 증가했고, 산업 투자 증가 기여율은 87.9%에 달했다. 첨단 기술 제조업은 광섬유/광케이블/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전자부품/전자특수재료 제조, 의료기기 장비/기기 제
'12개 기업' 지난 4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함께 중국을 방문한 독일 경제 대표단의 참여 기업 숫자다. 적은 듯 싶지만 폭스바겐, 지멘스 등 독일의 글로벌 기업들이 총망라됐다. 독일은 세계 4위의 GDP를 자랑하는 국가다. 유럽연합(EU)의 경제를 주도하고 있어 그 위치가 더욱 남다르다. 이번 독일 총리의 방중은 미중 갈등 속에 이뤄진 것이어서 더욱 그 결과에 세계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숄츠 총리와 동행한 독일측 경제 대표단이 국제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 총리가 중국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4일 오전 '공식 방문' 형식으로 베이징에 도착한 숄츠 총리는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한 이후 중국을 방문한 첫 유럽국가 정상이다. 숄츠 총리 방중단에는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 롤란드 부쉬 지멘스 CEO, 벨렌 가리호 머크 CEO, 크리스티안 제윙 도이체방크 CEO, 마르틴 브루더뮐러 BASF 이사회 의장 등 독일 12개 주요 기업의 임원들이 포함됐다. 방중단 12개 기업에는 자동차, 화학, 제조업 등 독일 전통 산업 뿐만 아니라 독일 바이온텍 등 신흥 생명과학기술 기업이 포함됐다. 중국과 독일 무역의 핵심
'4조4722억7000만 위안' 한화로 약 879조 원이다. 중국의 올 1~9월 서비스 수출입 총액이다. 서비스 수출의 증가는 중국 산업 구조가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 속에서 과거 단순한 제조업 단계에서 탈출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적 서비스 영역의 교역이 크게 늘어 주목된다. 중국의 이 분야 발전은 미국의 강한 견제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아예 일부 지적 서비스 분야의 경우 미국 기업은 물론 자국과 연관된 해외 기업들에게까지 중국과의 교역을 제한하고 있다. 삼성 등 국내 유수의 첨단 기업들도 이 같은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 1~9월 중국의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4조4722억7000만 위안(약 879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2% 증가했다. 상무부에 따르면 해당 기간 중국의 서비스 수출은 2조1480억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했고 수입은 2조3242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했다. 수출입 모두 증가한 것이다. 수출이 수입보다 4.4% 더 증가해 서비스업 무역 적자는 19.6% 감소한 1762억4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특히 지식집약적 서
'52조3700억 위안' 중국 선전과 베이징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들의 3분기 매출 총액이다. 한화로 약 1경295조 원에 달하는 액수다. 중국 경제 규모를 짐작케하는 수치다. 현재 중국 기업들은 미중갈등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전파를 엄금하고 나서면서 양국 간 기술교류는 철저히 차단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이 공급망을 통한 하부 기술 유출도 우려해 미국 중심의 기술 보완 기능까지 강화한 새로운 공급망을 구상하고 있어 중국 기업들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에 더해 유럽에 대한 수출 길까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중국상장기업협회가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선전증권거래소(沪深交易所)와 베이징증권거래소(北交所)가 4945개 회사의 3분기 보고서를 공개했다. 3분기 총 매출액은 52조3700억 위안(약 1경295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51% 증가했다. 순이익은 4조7500억 위안(약 930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46% 증가했다. 중국상장기업협회는 상장 회사의 1~3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신에너지, 첨단기술 제조업 등은 새로운 경제 동력을 보여주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