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선언 이후 첫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에 중국의 박스오피스 수입이 67억5800만 위안(약 1조2349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수치이자 중국 역대 춘제 연휴 박스오피스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중국 국가영화국에 따르면 이번 춘제 연휴 기간 최고의 히트작은 장이머우 감독의 '만강홍(滿江紅)'으로 약 26억1000만 위안(약 4767억 원)의 박스오피스를 기록했다. 또 SF 재난 블록버스터 '유랑지구(流浪地球)2'는 21억6000만 위안(약 3945억 원)을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올 춘제 연휴 기간 동안 상영된 중국 국내 영화에 대한 관객 만족도는 87.1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점 증가했다. 춘제를 앞두고 티켓 가격 인하로 관람객들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이번 흥행 요인으로 꼽힌다. 춘제 연휴 기간 중국 영화관 티켓 평균 가격은 53.2위안(약 97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9위안(약 530원) 내렸다. 중국에서 영화 티켓 가격이 인하된 것은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라오수광(饒曙光) 중국영화평론학회 회장은 "춘절 연휴 기간 여행하느라 바빴던 사람들이 연
闲云单影日悠悠, 物换星移几度秋 xián yún dān yǐng rì yōu yōu , wù huàn xīng yí jǐ dù qiū 阁中帝子今何在,槛外长江空自流 gé zhōng dì zǐ jīn hé zài ,kǎn wài zhǎng jiāng kōng zì liú 한 조각 구름 그림자 수면에 비추고 해는 한가롭기만한데, 만물이 순환하고 별들도 자리를 옮기니 몇 해가 지났던가? 누각에서 놀던 황제의 아들(등왕)은 지금 어디로 가고, 난간 너머 장강만 홀로 덧없이 흐르네 당나라 시인 왕발(王勃, 647~675)의 등왕각서(藤王阁序;秋日登洪府滕王阁饯别序) 후반부다. 등왕각은 중국 장시(江西)성 난창(南昌)시에 있는 누각이다. 당나라 고조 이연의 아들인 등왕(藤王) 이원영이 653년 세웠다. 시는 676년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왕발이 등왕각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해 지었다고 전해진다. 왕발은 몇 개의 시어로 무심한 하늘의 도(道)와 무상한 인간사를 짚었다. 시의 다른 부분도 명문이지만, 삶의 도리를 담은 담담한 이 구절이 가슴에 와닿는다. 특히 日悠悠와 几度秋는 정말 기막힌 대구(對句)다. 두 말만 보면 “해는 한가롭기만한데 몇 해나 그랬소?” 라는 뜻이다.…
미국 공군 4성 장군이 2년 후 미국과 중국이 전쟁을 벌일 수 있다고 경고해 논란이 됐다. 사실 지금과 같은 미중관계면 그리 놀라운 경고도 아니다. 양국의 군사적 갈등은 중국이 시진핑 정권 들어 주변 해역에 대한 해상권에 집착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사실 역대 중국은 중원, 즉 땅만 놓고 싸웠다. 바다를 통해 들어오는 해외 세력에 대해서는 해안선을 방어하는 방식으로만 대응했다. 당송, 명청시대 중국의 해군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중국의 바다는 언제나 원양이 아닌 근해였다. 그것이 화근이 돼 패배한 것이 바로 청일전쟁이다. 시진핑 정권 1기에 맞춰 청일전쟁 100주년이 도래했고, 중국 내 수많은 연구기관은 중국의 당시 패배는 해상권에 대한 개념 부족이었다고 분석했다. 시진핑 정권은 출범과 동시에 1호 항공모함 랴오닝(遼寧)함을 진수하는 등의 해상권 강화 조치를 이어갔다.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등 각국과의 충돌도 이때부터 본격화됐다. 미국은 중국의 이 같은 태도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해친다고 보았다. 중국에 맞서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펼쳤고, 이제는 아예 서로가 대놓고 군사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 공군 공
'13조7900억 위안' 2022년 중국 온라인 소매 판매액으로 약 2510조 원이다. 중국의 온라인 경제는 이제 지역총생산 개념을 바꿔 새로운 경제 성장 지표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로 커졌다. 기존 총생산 개념으로는 온라인 경제를 제대로 포괄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중국의 온라인 소매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전국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网上零售额)은 13조79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그 중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11조96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사회 소비품 소매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2%였다. 중국 상무부(商务部)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소매 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일부 카테고리의 판매가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18개의 모니터링 대상 상품 중 8개 상품의 매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초과했으며 그 중 보석류와 담배/술은 전년 대비 각각 27.3%와 19.1% 증가했다. 둘째 동북지역과 중부지역의 성장률이 빨랐다. 중국 동북지역과 중부지역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각각 13.2%와 8.7% 증가하여 전국…
중국은 막대한 네티즌 수를 기반으로 글로벌 온라인 경제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이 테스트 베드면 중국은 그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성공의 베드인 셈이다. 무엇보다 하루 쏟아지는 막대한 빅데이터들이 중국 온라인 경제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고 있다. 인공지능(AI) 분야의 발전은 결국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양이 중요한데, 중국은 그 데이터가 세계 최대 수준이다. 특히 인터넷 가상세계에는 인종, 남녀, 빈부 등의 구별이 없다. 오프라인의 누구라도 원하는 새로운 아이디, 아바타를 꾸며 살아갈 수 있다. 그런 온라인의 가상세계는 오프라인의 현실을 벗어나려는 많은 이들의 새로운 유토피아가 되고 있다. 그 유토피아는 최근 기술 발전과 더불어 오프라인 현실과 빠르게 접목돼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온라인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중국 인터넷 매체 인터넷주간(互联网周刊)이 AI(인공지능) 디지털 휴먼 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AI 앵커, AI 직원, AI 아이돌 등을 포함한 다양한 AI 디지털 휴먼 형태를 집계하여 중국 AI 디지털 휴먼업계 50개 기업을 비교했다. 종합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바이두(Baidu) 2위 알리바바 3위 천시화
중국이 '위드 코로나' 선언 이후 처음 맞이한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1월 21∼27일)에 관광, 영화 등 각종 소비 지표에서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각종 경제 지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이다. 28일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 문화관광부는 올해 춘제 연휴 전국 국내 여행객이 연인원 3억800만 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춘제 연휴 때의 88.6%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연휴 기간 국내 관광 수입 잠정 집계치는 3758억4300만 위안(약 6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이는 2019년 같은 기간 관광 수입의 73%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영화계도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중국 온라인 티켓 판매 플랫폼 마오옌에 따르면 춘제 연휴 7일 동안 중국 영화 흥행 수입은 67억6200만 위안(약 1조24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한 것이며, 사상 최고였던 2021년 78억4200만 위안(약 1조4300억 원)에 이어 춘제 박스오피스 역대 2위 기록이었다. 장이머우 감독이 연출한 시대극 '만강홍(滿江紅)'과 S
어린이의 싸움은 코피가 승부의 관건이다. 먼저 코피를 흘리게 하면 승패가 갈린다. 어린이의 주먹질이다. 어른의 싸움은 다르다. 오늘 날 직장에서 그 옛날 전쟁에서 승패는 코피로만 전장 위 장병들의 피로만 갈리지 않았다. 철저한 실리였다. 승패의 패(敗)가 그 의미를 잘 보여준다. 패는 간단히 돈을 잃는 것이다. 철저한 실리였던 것이다. 갑골문의 패(敗)는 조개를 도구로 때려 부수는 모양이다. 조개는 때론 정(鼎)의 모습을 띄기도 한다. 혹자는 조개 패(貝)를 태양의 흑점이 나타나는 때라 해석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조개 패(貝)가 상징하는 게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점이다. 조개는 과거 돈이었다. 정(鼎)은 왕권을 상징하는 그릇이었다. 모두가 귀중한 것들이다. 그 귀중한 것이 깨지는 게 지는 것이다. 역으로 눈앞에 굴욕이 있어도 속으로 실리를 잃지 않으면 지지 않는 것이다. 지지 않는 것! 사실 동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전쟁의 경전인 ‘손자병법’은 승(勝)을 논하지 않는다. 패(敗)를 논하는 책이다. 정확히 패하지 않는 법을 논하는 책이다. 먼저 싸움을 피하라 조언한다. 무적(無敵), 적(敵)이 없는 것은 적을 무찔러 얻기도 하지만 적을 피해서 얻기
커피가 지나치게 카페인이 많아서 맛이 강할 때 중국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强壮'的咖啡 'Qiángzhuàng'de kāfēi 건장한 커피 马丽丽,你看起来很累。 Mǎ Lìlì ,nǐ kàn qǐ lái hěn lèi. 마릴린, 많이 피곤해 보여요. 是的老师,我昨天晚上没有睡好。 Shì de lǎoshī ,wǒ zuótiān wǎnshàng méiyǒu shuì hǎo. 네 선생님, 어제 저녁에 잘 못 잤어요. 怎么了? Zěnme le ? 왜요? 我昨晚喝咖啡,那个咖啡太强壮了! Wǒ zuówǎn hē kāfēi ,nà gè kāfēi tài qiángzhuàng le! 어제 저녁에 마신 커피가 너무 건장했어요! *영미권에서는 ‘강한’도 ‘건장한’도 모두 ‘strong’이지만, 중국에서는 ‘강한’은 ‘强’이고 ‘건장한’은 ‘强壮’이다. ‘强’은 커피 등 음식 성분이 강할 때도 쓰이고 사람이나 생물, 기계 등이 강할 때도 쓰인다. 맞는 문구: 我昨晚喝咖啡,那个咖啡太强了! Wǒ zuówǎn hē kāfēi ,nà gè kāfēi tài qiáng le!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1965년 11월 문화대혁명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했지만,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의 지도자들은 아직 인식하지 못했다. 본래 뒤에서 쏜 화살은 피하기 어려운 법이다. 11월 10일 상하이 원후이바오(文汇报)에 야오원위안(姚文元)이 쓴 '신편 역사극 '해서파관'을 평한다'가 실렸다. 당장 여론은 들끓었다. 모두가 야오원위안의 트집이 지나치다는 것이었다. 본래 명나라 대신 '해서(海瑞)'의 청렴결백은 마오쩌둥(毛泽东)도 인정한 것이었다. '그런 걸 어디 감히 야오원위안 정도가 비판을 하다니?'라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였다. 그러나 모두가 모르는 것이 있었다. 야오원위안 뒤에는 마오쩌둥의 아내 장칭(江青)이 숨어 있었고, 장칭의 뒤에는 바로 마오쩌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마오쩌둥은 당시 중국에서 인민 전체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대부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의 지지가 있자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어쩔 수 없이 야오원위안의 글을 전재한다. 정치적 파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글은 '학술난'에 실렸으며 편집자주(註)가 달렸다. 이 편집자주는 당연히 저우언라이(周恩来)와 펑전(彭真) 베이징 시장의 심의를 거친 것이었다. 당은 언제나 학계의 백가쟁명을 지지해왔다. 우리는…
마오쩌둥(毛澤東) 이래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공식 복장은 인민복(人民服)이었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즐겨 입으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았지만 사실 개혁개방과 함께 인민복은 한동안 사라졌었다. 그렇다면 과연 중국 공산당 지도자 중 누가 처음으로 인민복을 벗고 서구식 양복을 입었을까? 중국에서 무슨 일이든 용감하게 처음 시도한 사람을 '게 요리를 처음 먹을 사람'이라고 한다. 과연 이 분야에서 게요리를 처음 먹은 인물은 누굴까?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서 처음 양복을 입고 넥타이를 맨 인물은 후야오방(胡耀邦, 1915~1989)이다. 그는 1980년대 덩샤오핑(鄧小平)과 함께 개혁개방을 주도하며 개혁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공산당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자 당 총서기인 후야오방이 넥타이를 매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당대 중국 지도자들이 양복을 따라 입게 됐다. 그런데 당시는 넥타이라는 게 대단히 낯설었던 시절이다.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의 소설 '평범한 세계'에는 이 때의 혼란상이 잘 나타난다. 갑자기 대도시, 농촌지역 할 것 없이 당 간부들이 줄줄이 양복을 입기 시작한다. 일부는 넥타이 매는 법을 몰라 매듭을 만들어 항상 걸어 놓기도 했다. 갑자기 양복이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