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블리자드, 중국 서비스 중단에 中네티즌 "우리 게임을 이용하자"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네티즌을 자랑하는 나라다. 다시 말하면 세계 최대의 게임 시장이다. 

특히 게임은 중독성이 있다. 모든 중독성이 있는 것들의 시장은 공급자의 무게가 소비자보다 크다는 의미다. 중국인들이 애플을 그렇게 욕하면서도 아이폰을 사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 게임업체 액티비전 블리자드(이하 블리자드)가 중국 게임 시장에서 퇴출의 기로에 섰다. 

일단 중국내 운영회사와의 계약 유지에 실패한 탓이다. 중국 네티즌은 중국 시장을 존중해 미국 업체의 양보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가 무너지자 "이 참에 블리자드를 퇴출시키자"고 화를 내고 있다. 

블리자드의 중국내 운명이 어디로 갈지 주목된다.

16일(현지시간) 블리자드는 넷이즈와의 기존 라이선스 계약이 2023년 1월 23일에 만료됨에 따라 '오버워치2', '디아블로3',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등 중국 내 대부분의 블리자드 게임 서비스와 판매를 중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블리자드는 넷이즈와 운영 원칙 등 제휴 내용에 대해 원만하게 합의하지 못하여 재계약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블리자드가 2008년부터 14년간 이어온 제휴 관계를 내년 1월부로 종료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17일 홍콩 증시에서 넷이즈 주가는 11.6% 급락했다.

중국 네티즌은 자국 게임을 이용하자며 블리자드의 퇴출을 지지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텐센트 게임이 있다", "블리자드의 퇴출을 지지한다" 등의 의견이 적지 않다. 하지만 앞의 전제가 재미있다. "내가 하지 않는 게임이야"이다. 블리자드 중국 팬들은 과연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그게 더 관건이다. 

 

우리한테는 텐센트 게임이 있어서 중단해도 상관없어. 그리고 게임은 조금만 하고 차라리 기술을 배우자.

 

앞으로 게임은 자국 게임만 합시다. 흘계, 왕자, 원신 다 재미있잖아.

 

좋은 일이야~~

 

게임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사람을 죽이는 칼이예요.

 

잘 됐네. 다 내가 안 하는 게임이야. 블리자드의 퇴출을 지지합니다!

 

내 청춘이… 됐어! 두 번째, 세 번째 청춘을 준비하면 되지!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