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이 건설한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 中네티즌 “선수 빼고 중국 거 다 있다”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이 21일(현지시간) 개막함에 따라 중국에서도 월드컵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중국에게 축구는 참 아픈 부분이다. 그렇게 좋아하고, 그렇게 많은 투자를 하는 데 실력은 그저 그렇다. 흔히 중국은 더하면 14억이고, 나누면 14억 분의 1이라는 말이 있다. 뭉치면 세계 제일이지만 흩어지면 세계 꼴찌라는 의미다. 중국 축구에 가장 어울린다고 중국인 스스로가 자조하는 말이기도 하다. 실제 중국 프로 축구는 개개인 모두 뛰어난 선수들이지만 11명이 뛰는 게임에서는 집중된 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월드컵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은 아시아 조별 최종예선에서 탈락하며 이번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 지하철역은 물론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 월드컵을 활용한 광고물이 게시됐고, 주요 관영 매체들도 월드컵 소식을 주요 기사로 전하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이 건설한 루사일 스타디움(Lusail Stadium)에 대한 관심이 높다.

카타르 수도 도하 북쪽 약 23㎞에 위치한 루사일에 지어진 이 경기장은 관중 8만 명이 입장할 수 있어 올해 카타르 월드컵이 열리는 8개 경기장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다음달 19일 결승전이 열리는 경기장으로 좌석 밑에 설치된 에어컨 등 관람객을 배려한 다양한 요소들이 눈에 띈다.

중국 네티즌은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 중국 선수들 빼고 중국 것은 다 있다며 본선 진출 탈락이 아쉽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정말로 중국 선수 빼고 중국 것은 거의 다 갔네요"라는 한 네티즌의 자조섞인 말이 눈에 띈다. "중국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네요"라는 반응도 있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국뽕'은 어디나 있는 법이다. 

 

중국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네요.

 

중국의 첨단 기술이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가고 있어요.

 

선수들 빼고 다 갔네.

 

선수가 없잖아요.

 

정말로 중국 선수 빼고 중국 것은 거의 다 갔네요.

 

카타르 정말 부자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