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중국어로 선정된 글자와 문구. 사진=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http://www.kochina21.com/data/photos/20221251/art_16715360389462_0d8609.jpg)
'편안할 온(穩)'자와 '싸움 전(戰)'자가 올해의 중국어(한자)로 선정됐다.
아무래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당국의 경제적 운영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중국에서 여론에 등장하는 용어는 당국의 입김이 절반 이상 작용한다. 철저한 금기어와 권장하는 방향의 보도 형태가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중국 당국이 꺼림직하면서도 금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은 지구촌 모두가 지켜본 팩트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 입장에서 침공이라는 표현보다 중립적인 입장을 반영해 '전쟁'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였다. 전쟁은 누가 먼저 일으켰는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면 일방의 책임 소재가 없는 용어다. 서로가 의견이 맞지 않으면 발생하는 게 충돌이고, 무력 충돌이 바로 전쟁이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언어자원모니터링·연구센터, 중국 최고(最古) 서점인 상무인(商務印)서관(국유기업), 관영 매체 광명망 등은 20일 베이징에서 공동 개최한 '중국어 총결산 2022'에서 올해 국내 상황을 대표하는 글자로 안정을 뜻하는 '온'자가, 국제 상황을 대표하는 글자로 '전쟁'을 뜻하는 '전'자가 각각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올해 중국의 핵심 경제 기조인 '안정 속 발전(穩中求進)', '사회의 장기적 안정(社會要長期穩定)' '중국의 식량 안보 확보(端穩中國飯碗)', '취업과 민생의 안정 확보(就業民生要保穩)' 등 올해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가 강조한 슬로건 중에는 유난히 '온' 자가 들어간 것이 많았다.
또 '국내 관련 올해의 중국어 문구'는 지난 10월 열린 '20차 당 대회(黨的二十大·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가, '국제 관련 올해의 문구'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 당국의 공식 표현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충돌(俄烏沖突)'이 각각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