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알루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 브랜드 Top 5


 

창은 중국 가정집 인테리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나무의 조각을 살린 아름다운 창틀은 중국 주택의 특색이다.

하지만 문제는 난방이다. 기존 나무 창틀은 겨울철 난방에는 '쥐약'이었다. 

그래서 중국의 주거시설 현대화 작업은 창틀 개조부터 시작했다. 1990년대 보시라이(薄熙來)  전 다롄 시장이 다롄의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을 벌이면서 지역 주택의 창틀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바꾸도록 지방 정부 지원을 해 주목을 받았다.

물론 해당 사업을 자신의 측근이 진행하도록 해 관련 기업인이 한 때 중국 최고의 갑부가 되기도 했다. 

지금은 중국 어디를 가도 알루미늄 창틀이지만 과거 목재 창틀의 아름다움을 겸비하기 위한 다양한 형식, 형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런 다양성 덕에 중국 건축 시장에서 알루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은 더욱 더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최근 더 많은 제조업체가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브랜드가 많아졌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알루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 브랜드 Top 5는 다음과 같다. 상위 5개 브랜드의 본사가 모두 광둥성 포산(佛山)시에 위치해 있다.

 

1. 부헌전옥문창(富轩全屋门窗)

부헌전옥문창은 2002년 난해부헌문창막장유한회사가 선보인 브랜드이다. 현재 6개의 생산 기지가 있으며 뛰어난 제조력으로 글로벌 알루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 10대 브랜드에 선정된 바가 있다.

 

2. 수복문창(穗福门窗)

수복문창은 분산시수가복문창유한회사 산하의 알류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 브랜드로 미닫이 창문 및 도어, 접이식 도어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3. 금락양문창(金诺阳门窗)

금락양문창은 도매와 소매를 병행하고 있는 대규모 제조업체로 선진 자동 기계 생산 설비를 도입하고 숙련된 전문 기술팀을 구성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뿐 아니라 중동, 아프리카, 유럽, 미국 등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4. 오위문창(澳威门窗)

오위문창은 1999년에 설립된 업체로 중국 전역에 판매망을 운영한다.

 

5. 구철문창(欧哲门窗)

구철문창은 광동과륭구철과기유한회사 산하의 브랜드로 도어, 창문, 커튼월 등을 주로 판매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