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천 리를 더 보고픈가, 그럼 한 층 더 오르라.

 

白日依山尽, 黄河入海流 

bái rì yī shān jìn, huáng hé rù hǎi liú

欲穷千里目, 更上一层楼 

yù qióng qiān lǐ mù, gèng shàng yī céng lóu

 

해는 서산으로 지고,

강은 바다로 흐르지.

천 리를 더 보고픈가,

그럼 한 층 더 오르라.

 

참으로 결연하다. 또박 또박 단순한 천리(天理)를 이야기한다. 이 땅이 생긴 이래 한 번도 바뀌지 않은 진리다.

'하늘의 해는 동에서 떠 서쪽으로 지고, 강은 …' 

도대체 무슨 이야기 하려고 이러나 싶을 때 던진 마지막 말이 압권이다. 

"더 보고 싶어? 더 듣고 싶어?" 그럼 말해주지.

“한 층 더 올라가면 돼.” 

참, 할 말이 없다. 중국 당나라 중기 너무도 유명한 왕지환(王之涣, 688~742)의 시 '등관작루'(登鹳雀楼)다. 왕지환은 왕창령, 고적 등과 어울린 변색파 시인이다. 그는 단 여섯 수의 시를 남겼는데, 그중 이 등관작루는 다른 이의 시 수백 수보다 낫다.

남아의 호방함이 넘치고 기백이 있어 많이 인용된다. 중국인은 물론 중국어를 배운 이라면 누구나 한 번 접하게 되는 시다. 관작루는 산시성 영제시에 실제 있는 누각이다.

 

 

시어와 문장이 너무 단순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다. "멀리 보고 싶으면, 한 층 더 올라가 보라"는 너무도 평범한 내용이다. 하지만 읽을수록 좋다. 내부의 호연지기가 낭송되는 시어와 함께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비밀은 단순 진리의 상승적 반복이다. 해가 동쪽에서 떠? 당연하지. 서쪽으로 져? 당연하지. 당연한 진리가 반복돼 나열되면서 시상은 나선형으로 상승해 간다. 독자 혼자 "그게 다 멋이지. 해가 뜨고 지고, 모두가 멋진 장면이지"하고 수긍을 할 때, 시인이 묻는다. 

"더 보고 싶지 않아? 더 차원 높은 진리가 알고 싶지 않아?" 

그리고 이미 마음으로 승복된 독자를 꼬드긴다. "한 계단 더 올라가면 더 멀리 볼 수 있어!"

한 층 더 올라가보니 더 멀리 보이더라 한 게 아니다. 한 층 더 보고 싶다면 올라가보라고 한다. 살짝 바꿨는데 인생사에 대한 깊은 성찰이 느껴진다.

여기서  성조가 조미료다. 4성을 잘 써서 시를 읽으면 자연스럽게 또박또박 강조하는 느낌이 든다. 

본래 쉽게 잘 쓰는 게 어려운 법이다. 그래서 명시다. 

왕지환은 사람이 호방하고 의협의 기질이 있었다고 한다. 시의 운율에서도 그 호방이 그대로 드러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지자체들, 관광객 유치 위해 청사 식당 개방하고 무료 세차 서비스까지 제공 나서 눈길
중국 지방시들이 노동절 연휴 기간 관광객을 위해 청사 식당도 개방하고 무료 세차 서비스까지 해줘 화제다. 중국 각 지역 지자체들이 거의 모든 것을 내걸고 관광객 유치전에 나섰다는 의미이다. 그저 관광 홍보만 하는 수준에 그치는 한국 지자체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지적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충칭시 융창구 정부 청사 식당이 연휴 첫 이틀 동안 1만 명이 넘는 관광객을 접대하며 화제를 모았다. 또 후베이성 우한 등 여러 지역의 당정 기관은 연휴 기간에 내부 주차장과 화장실을 무료 개방했으며, 츠비시(赤壁) 정부 기관은 심지어 무료 세차 서비스까지 추가로 제공했다. 산시성 위린의 교통경찰은 외지 관광객의 불법 주차에 대해 단속 대신 안내만 하는 유연한 단속을 실시했다. 이번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여러 지역이 다시 한 번 진심 어린 ‘손님 환대’로 관광객을 배려했고, 이를 통해 외지에서 온 방문객들은 각 지역 행정의 따뜻함과 실용적인 태도를 피부로 느꼈다. 소비 쿠폰 발급부터 입장료 면제, 다양한 방식의 홍보, 내부 자원의 개방까지, 올해 들어 각 지역은 자발적으로 자치단체의 문화관광 자원을 적극 홍보하며 관련 소비를 촉진했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