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슬플 애(哀), 지극한 슬픔은 소리 없는 말이다.



 

무엇이든

극에 이르면

인간인 우리는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다.

 

극에 이른다는 것

그 자체가

우리의 인지 능력 밖에

있다는 의미인 탓이다.

 

지극한 기쁨도

지극한 행복도

지극한 고통도

지극한 슬픔도

실은

우리의 인지 영역

밖에 있는 것이다.

 

그것들은

마치

하나의 성체에서

발현된 수많은

객체들처럼

수억의 섬모처럼

 

서로가 서로에

반근착절(盤根錯節),

얽매여 있는지 모른다.

 

극도의 난마(亂麻)에

순간 우리는

놀라 소리치고

울고 싶어도

소리도

눈물도 잃고 만다.

 

바로 노자의

‘치극허’(致極虛)의 경지다.

 

극한의 기쁨에

극한의 고통에

극한의 슬픔에

맞아 우리는 우리 자체를 잊는다.

 

노자는 이 경지를

‘歿身不殆’(몰신불태: 몸을 잃어도 위험하지 않다)고 했다.

 

정말 그럴지,

치극허에 가보지 않은 탓에

잃어 본 적이 없는 탓에

무엇이

어떻게

위험하지 않은지 알 길은 없다.

 

사실 인생을 살며

극한 고통과 슬픔을 겪는 이 누구며,

극한 기쁨을 겪는 이 누군가?

 

과연 우리의 몇이나,

삶에서 감정의 극한에 이를까.

 

그저

감정들의 극한에 대한

숙념 속에

그저 그런가보다 할 뿐이다.

 

한자의 세계에서

기쁨의 경지는 고통과 닿았다.

지극(至極)의 끝은

또 다른 지극의 시작인 것이다.

 

대표적인 한자가 쾌(快)다.

심장을 긁어내는

기쁨의 쾌(快)는

고통의 이면이다.

 

극도의 슬픔은 무엇에 닿아 있을까?

 

한자 애(哀)은

죽은 자 없는 죽음이다.

 

 

금문에 등장하는 애(哀)는

옷 위에 놓인 입 구(口)다.

 

시체는 없이

사람의 옷 위에

덩그러니 입 구(口)가 놓여 있다.

 

바로 소리 없는

울음이다.

죽은 자의 옷 위에

떨어지는

눈물없는

곡성(哭聲)이다.

 

두보의

‘死别已吞声’(사별이탄성: 죽어 이별은 소리 없이 울고)의 경지다.

내지르는 탄성(歎聲)이

아니다.

삼키는 소리 탄성(呑聲)이다.

 

입 구(口)에는 두 가지

해설이 있다.

 

중국에서는 입 구(口)를

입을 본뜬 것이라 하고

일본에서는 입 구(口)가

주문(呪文)을 담은

제기(祭器)라고 한다.

 

어떤 것이든

슬플 애(哀)는

죽은 자의

옷 위에 남겨진

소리없는 말,

울음, 탄성(呑聲)이다.

 

혹 그 탄성은,

소리 없는 울음은

죽은 자의 것일 수 있다.

 

죽어 이미

소리 내지 못하지만

자신의 옷을

챙겨줄 친지에

지인에게

남기는

마지막 말

 

이제

그를 기리는 기억들 속에 남아

영원히

변치 않을 약속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