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14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위원회 위원 명단 발표

 

제14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위원회 위원 2172명의 명단이 발표됐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4기 정협 위원에 여러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창업자들이 빠지고 방역·환경·자원 전문가들이 새로 포함됐다고 전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의 공동창립자인 리옌훙(로빈 리) 최고경영자(CEO), 제2 포털사이트 소거우의 왕샤오촨 CEO, 인터넷·온라인게임 기업 넷이즈의 딩레이(윌리엄 딩) CEO 등이 정협 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빅테크 출신들이 빠진 반면, 코로나19 최고 방역 전문가 2명이 새롭게 정협 위원이 됐다.

중국 국가전염병의학센터장인 장원훙 상하이 푸단대 부속 화산병원 주임,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우쭌여우 전염병학 수석 전문가가 14기 정협 위원 중 보건·의료 분야 위원 96명에 합류했다.

특히 장원훙은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를 엄격히 고수하던 때에 '위드 코로나'를 제안한 소수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14기 정협에는 환경·자원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분야가 신설됐다. 정협 34개 분야 중 신설된 환경·자원 분야에 85명 위원이 선정됐다.

정협은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단체로 각종 정책 제안을 한다. 다만 법적 권한은 없다. 정협 위원은 5년마다 선출하며 나이나 임기 제한은 없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