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리오프닝으로 中성장률 2% 상승하면 한국 성장률 0.3% 높아져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올해 2분기부터 경제 회복이 본격화할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성장과 수출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중국 리오프닝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성장률은 지난해 3.0%에서 리오프닝 등의 영향으로 올해 5.0%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 성장률 2%포인트 상승의 한국 성장률 제고 효과는 0.3%포인트 안팎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중국의 한국 중간재 수요 등이 줄어 중국 성장에 따른 수혜 정도가 과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앞서 지난 23일 중국의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4.5%(작년 11월)에서 5.0%로 올려 잡고, 이를 반영해 0.1%포인트를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에 더했다.

중국 성장이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대(對)중국 재화 수출과 중국 관광객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수 경기에 민감한 화학공업제품 등의 수출이 증가하고 시차를 두고 휴대전화·반도체 등 IT(정보기술) 제품 수출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관광객도 다음 달 1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유전자증폭(PCR) 검사 의무 해제 이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1106달러), 일본(675달러)을 크게 웃도는 중국 관광객 1인당 지출 규모(1689달러)를 고려할 때 중국 관광객이 100만 명이 증가하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08%포인트 높아진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편 물가 측면에서는 중국의 리오프닝이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됐다. 중국 수요 확대로 유가 등 원자재 가격과 중국 물가의 상승 압력이 커지면서 국내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