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NFT(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순위 Top 5, 1위 징탄

 

NFT(대체불가토큰, Non Fungible Token) 시장이 중국에서갈수록 커지고 있다. 

NFT(대체불가토큰, Non 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것으로 예술 작품, 영상, 음악, 게임 아이템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게 특징이다.

7080년대 초중고등학교 인근 학생용품점에는 인기 연예인들의 화보를 팔았다. 오프라인의 화보는 저작권이 없는 짝퉁의 경우 화질이 떨어졌다. 자기가 좋아하는 연예인의 화보를 잘 인쇄된 질 좋은 것으로 갖고 싶은 팬심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NFT 시장은 이 같은 팬심에서 유지가 된다. 고유한 대체불가한 온라인 화보를 갖고자 하는 팬심이 시장을 키우는 것이다. 예술품에 대한 사랑도 마찬가지다.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는 NFT 상품이 중국에서는 '디지털 수집물(Digital Collection, 数字藏品)'로 불린다.

중국 당국이 NFT 상품을 통한 이익 창출을 금지하고 있어 알리바바, 텐센트, 비리비리, 징둥닷컴, 바이두, 샤오미 등 중국의 기술 기업들은 NFT를 '디지털 수집물'로 지칭하고 있다.

중국 메타버스 전문 매체 '메타버스간사(元宇宙简史, A Brief History of the Metaverse)'가 2월 기준 중국 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30대 업체를 발표했다.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징탄(鲸探)

2위 수장중국(数藏中国)

3위 환잡(丸卡)

4위 웨이이이수(唯一艺术)

5위 중전신문창(中传新文创)

 

1위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이 운영하는 NFT 서비스 플랫폼 징탄(Jingtan)이 차지했다.

징탄의 NFT 서비스 분야는 문화예술, 애니메이션, 스포츠 등 다양하다. 단, 중국내 다른 디지털 수집물처럼 제품 구입 후 180일 이후 무료 양도는 가능하지만 개인간 매매는 불가능하다.

작년 상반기 기준으로 중국 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업체는 1000여 개에 달했다. 그 중 3분의 2가 설립 1년 미만의 신생업체였다.

중국 시장조사 연구기관인 iiMedia 컨설팅이 발표한 '2022년 중국 디지털 콜렉션 산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중국 디지털 콜렉션 시장 규모는 2억8000만 위안(약 520억 원)에 달했으며 2026년에는 23억9000만 위안(약 44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