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량차오웨이와 탕웨이 아시아필름어워즈 남녀주연상, 中네티즌 "대륙 영화는 없나?"

 

'K-콘텐츠'의 위상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의 여배우 윤여정이 할리우드에서 2021년 영화 '미나리'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것은 물론, 넷플릭스에서 '오징어게임'을 비롯해 최근 '더글로리'까지 수많은 화제작들이 세계인의 이목을 사로잡고 있다. 

일단 콘텐츠의 스토리도 스토리지만, 스토리를 맛깔스럽게 살리는 배우들의 연기 또한 일품이다.  여기에 다양한 촬영 기술까지 겹치면서 'K-콘텐츠'의 위상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K-콘텐츠'를 바라보는 중국 네티즌들의 심정은 복잡하다. 스스로 재미있다고 느끼면서도 그렇지 못한 중국 콘텐츠들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깊어만 간다.

지난 12일 홍콩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제16회 아시아필름어워즈 시상식에서 홍콩 영화 '풍재기시(风再起时)'의 량차오웨이(양조위)가 남우주연상을, 한국 영화 '헤어질 결심'의 탕웨이가 여우주연상을 각각 수상했다.

량차오웨이는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영화를 여러 편 봤는데 모두 훌륭하고 모두 내가 매우 존경하는 배우들이다. 내가 이렇게 받을 줄은 예상 못했으며 감사하다는 말밖에 할 수 없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량차오웨이는 남우주연상과 함께 아시아영화공헌상까지 수상했다.

탕웨이는 허리 부상으로 시상식에 참여하지 못해 '헤어질 결심'에 함께 출연한 박해일이 대리 수상했다.

아시아필름어워즈는 부산·도쿄·홍콩 세 국제영화제가 아시아 영화 발전을 위해 설립한 아시아필름어워즈아카데미가 매년 개최하는 시상식으로, 올해는 3년 만에 홍콩에서 대면으로 열렸다.

중국 네티즌은 "량차오웨이와 탕웨이 모두 수상을 해서 좋다"면서도 "대륙 영화가 수상하지 못해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양조위와 탕웨이가 각각 수상했네요.

 

들어본 영화가 하나도 없네요. 이 영화들은 어디서 상영하는 거예요?

 

대륙 영화는요?

 

헤어질 결심 정말 재미있어요.

 

들어본 영화가 하나도 없네요.

 

중국 본토 영화는 없나요?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