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첨단과학 연구개발(R&D) 투자 10년 간 53% 증가

 

미국의 기술 제재로 중국의 첨단 분야 연구개발(R&D) 투자가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산시성 시안의 창안대 연구진은 최근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 중국과학기술포럼에 발표한 논문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정부의 제재가 중국 첨단기술 기업 약 1000곳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해당 기간 중국의 R&D 투자가 52.9% 늘어났으며, 그 결과 이들 중국 기업의 평균 특허 출원 건수는 57.6%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의 규제가 중국의 혁신을 가속하고 중국 정부가 새로운 인센티브 정책을 내놓거나 중국 기업들이 외국 파트너에 덜 의존하도록 촉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미국 규제의 영향이 산업별로 매우 다르다면서 중국 전자업체들이 가장 타격이 크고 컴퓨터와 통신 분야가 뒤를 잇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이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후발 주자이고 여전히 일부 핵심 기술 분야에서 약한 고리가 있는 상황에서 화웨이로 대표되는 중국의 첨단 기술 기업들은 기술 통제가 유발하는 거대한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신소재 산업 같은 경우 미국의 제재로 10년간 해당 중국 기업들이 혁신 비용을 5% 이상 줄였다면서, 이 같은 현상은 일부 자본 집약적인 산업에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외부 환경이 악화될수록 이들 분야는 자본 투자를 늘려 단기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SCMP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제재로 단기적인 이득을 얻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 기업들이 스스로 기술을 개발하도록 만들면서 결국은 중국과의 전쟁에서 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 2일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주요 유망 기술 부문 44개 중 37개에서 압도적으로 R&D 우위를 보였다. 특히 나노 물질 제조, 수소 전력, 초음속, 전기 배터리 부문에서는 중국이 거의 독점적인 위상을 차지한 것으로 평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