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요식업 시장 규모 2027년 7조 6586억 위안(약 1469조 원) 예상

 

'7조 6586억 위안'

한화로 약 1469조 원으로 2027년 중국 요식업 규모 예상치다.

식도락은 중국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즐거움 가운데 하나다. 현대 산업 가운데 요식업이 바로 중국인들이 중시하는 식도락을 책임지는 산업이다. 

식도락이 중국 전통 문화에서 뿌리가 깊은 만큼 중국의 요식업도 그 뿌리가 깊다. 중국인들은 집에서 요리를 하기보다 대부분이 외식을 즐기는 덕에 요식업 산업의 규모도 크고, 형태도 다양하다.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중국 요식업 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 치차차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올해 1∼3월 자본금 500만 위안(약 9억5000만 원) 미만 중소기업 757만 개가 신규 등록했는데 이 중 10%에 해당하는 75만1000여 개가 요식업체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요식업체 등록 취소 건수는 전년 동기보다 78.3% 줄어든 5만6000여 건에 불과했다.

7일 중국 현지 매체 러쥐차이징(乐居财经)에 따르면 중국 요식업 시장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4조 6721억 위안(약 896조 원)으로 연간 복합 성장률이 8.6%에 달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방역으로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 봉쇄가 이어지면서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6% 감소된 3조 9527억 위안(약 758조 원)으로 축소됐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중국 요식업 시장 규모가 4조 3941억 위안(약 842조 원)으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향후 몇 년 동안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 2027년에는 7조 6586억 위안(약 1469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러쥐차이징은 향후 중국 요식업 시장 급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중국 경제 성장 및 가처분 소득 증가, 1인당 연간 외식비 지출 증가, 급속한 도시화 및 디지털 플랫폼 기술 개발 등을 꼽았다.

지난해 중국 1급 도시, 신1급 도시, 2급 도시 거주자의 1인당 연간 식품 지출은 각각 1만2980위안, 9921위안, 9081위안으로 연평균 5.4%의 복합 성장률을 나타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