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패스트푸드점 배달요금 논란, 中네티즌 “9위안은 정상적인 가격”

 

플랫폼의 배달료는 높을수록 좋을까? 낮을수록 좋을까?

사실 그때 그때 입장에 따라 다르다. 배달료가 높으면 배달 노동자들이 좋고, 낮으면 소비자들이 좋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배달료가 높으면 배달원 확보가 쉬워서 좋고, 낮으면 소비자들이 늘어서 좋다.  

최근 중국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 맥도날드, KFC 등의 배달요금이 논란이 되고 있다.

현재 베이징 맥도날드 및 KFC의 기본 배달요금은 9위안(약 1900원)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퇀 등 생활서비스 플랫폼의 배달요금이 1~2위안이고 무료 배달을 진행하는 곳도 있는 것을 감안하면 9위안은 꽤 비싼 편이다.

이번 논란에 대해 중국 네티즌은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다며, 생활서비스 플랫폼의 낮은 배달요금은 배달원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네티즌은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잖아요. 메이퇀의 배달요금은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이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은 "맥도날드는 노동자를 보호하고 합당한 보상을 하는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대체로 배달 노동자들의 임금이 낮다는 데 공감하는 모습이다.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잖아요. 메이퇀의 배달요금은 노동력을 착취하는 거예요.

 

꼭 가격을 내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배달원분들 돈 더 벌게 합시다.

 

배달요금 9위안은 괜찮아요. 그런데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과 제품 가격이 다른 건 아닌 것 같아요!

 

맥도날드는 노동자를 보호하고 합당한 보상을 하는 거예요.

 

9위안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거면, 설마 2위안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가요?

 

패스트푸드는 안 먹어요.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