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패션 기업 2022년 매출 순위 Top 10, 1위 하이란즈지아

 

'1289억8700만 위안'

한화로 약 24조 9460억 원이다. 지난해 중국 상하이, 선전 A주 상장 패션업체들의 영업수입 총액이다. 영업수입이 100억 위안(약 1조 9340억 원)을 넘긴 곳도 4개에 달했다.

한 세대 전만을 생각해도 정말 천지개벽의 변화다. 당시만해도 중국은 세계 의류회사들의 하청 공장이었다.

당시 한국, 미국, 유럽 등의 의류 업체들은 높아진 인건비로 생산수지를 맞추지 못할 때였다. 수많은 공장들이 중국으로 이전을 했고, 중국인 노동자들이 생산을 도맡게 됐다.

하지만 중국은 빠르게 외국 기업들의 손에서 벗어나 독립을 했고, 오늘날 이미 세계 패션산업의 한 중심지로 거듭났다.

최근 중국 상하이, 선전 A주 상장 패션 업체들의 2022년 경영 실적이 발표됐다. 대표 패션 업체 38개의 총영업수익은 1289억87000만 위안(약 24조 946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실적 TOP 10 업체는 다음과 같다.

 

1위 하이란즈지아(海澜之家)

2위 지화그룹(际华集团)

3위 야그얼(雅戈尔)

4위 린마푸스(森马服饰)

5위 타이핑니아오(太平鸟)

6위 셩친그룹(盛泰集团)

7위 바오시냐오(报喜鸟)

8위 진홍그룹(锦泓集团)

9위 랑즈구펀(朗姿股份)

10위 치피랑(七匹狼)

 

하이란즈지아는 매출 185.62억 위안(약 3조 5898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지화그룹과 야그얼이 매출 154.36억 위안 및 148.21억 위안으로 2~3위에 이름을 올렸다.

4~10위는 린마푸스, 타이핑니아오, 셩친그룹, 바오시냐오, 진홍그룹, 랑즈구펀, 치피랑으로 매출은 각각 133.31억 위안, 86.02억 위안, 59.66억 위안, 43.13억 위안, 38.99억 위안, 38.78억 위안, 32.28억 위안을 기록했다.

중국의 패션산업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대다수 전문가들은 당연히 예견됐던 일이라고 지적한다. 

라이브방송 등으로 패션 유통업에 종사하는 송경아 TUF 대표는 "이제 중국 공장들이 더 싼 노동력을 찾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이동하는 형국"이라며 "생산 라인을 구축한 중국 패션업체들은 자체 시장에서 쌓은 노하우로 세계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