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동절 연휴 인기 관광지 발표, 中네티즌 "모두 입장료가 저렴하거나 무료인 곳"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은 중국 경제의 숨통을 열었다. 안도의 숨을 가장 크게 내쉰 곳이 바로 여행업계다. 

중국 여행업계가 위드 코로나 정책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일상을 되찾으며 기사회생하고 있다. 

이번 노동절 연휴(4월 29일~5월 3일) 기간에도 수억 명에 달하는 중국인들이 중국 전역은 물론 해외 곳곳으로 여행가방을 들고 나갔다.

중국인들은 평생 자국 땅도 다 돌아보지 못한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다 보니 죽기 전에 가능한 많은 곳을 보고자하는 여행 문화가 뿌리깊게 자리 잡고 있다.

중국 노동절 연휴에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한 Top 10 명승지가 발표됐다. 2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4월 29일 0시부터 5월 1일 오후 4시까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명승지 10곳은 다음과 같다.

 

1위 항저우 서호(杭州西湖)

2위 난징 부자묘 진회풍광대(南京夫子庙秦淮风光带)

3위 난징 중산풍경구(南京钟山风景区)

4위 베이징 이화원(北京颐和园)

5위 따리 고성(大理古城)

6위 시안 대안탑·대당부용원명승지(西安曲江大雁塔·大唐芙蓉园景区)

7위 지난 천하제일천풍경구(济南天下第一泉风景区)

8위 우한 동호풍경구(武汉东湖风景区)

9위 베이징 올림픽공원(北京奥林匹克公园)

10위 베이징 천단공원(北京天坛公园)

 

중국 네티즌은 인기 명승지 10곳이 모두 입장료가 저렴하거나 무료인 곳이라며 "특별히 볼 게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2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1일까지 중국내 철도, 도로, 수로, 항공 이용객은 총 1억5932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9% 증가했다.

중국내 철도 이용객은 5349만2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460.9% 늘었고, 도로와 수로를 이용한 사람도 각각 9720만 명(99.7% 증가)과 334만2000만 명(86.2% 증가)으로 집계됐다.

항공기 이용객은 529만 명으로 전년 대비 546%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