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5대 신성장 산업 세계 수출 점유율 한중 간 격차 확대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전기차, 바이오헬스 등 5대 신성장 산업에서 한국과 중국의 세계 수출 점유율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공급망 체인에서 한국의 비중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그동안 한국은 일본과 중국 사이에 낀 호두같은 운명이라는 우려를 받아왔다. 우려가 갈수록 현실화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의 힘을 한 곳에 모아야 하는데, 이것은 기업이 할 수 없고 오직 정부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글로벌지역센터 센터장은 "관치(官治)라는 말은 정부가 기업을 규제한다는 것만이 아니다. 기업들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주는 것도 관치의 주요 목적임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4일 발표한 '5대 신성장 산업의 수출경쟁력 및 경제 기여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3개 신성장 산업(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에서 세계 수출 점유율 1위에 올랐다.

5대 신성장 산업의 세계 교역 규모는 2016년 1.6조 달러에서 2021년 3.2조 달러로 1.8배 증가하여, 전 세계 수출액의 약 14%를 차지했다.

2016년 이후 5대 신성장 산업 분야에서 중국(+1.6%p), 독일(+0.9%p), 베트남(0.7%p)의 세계 수출 점유율은 증가하고, 미국(-1.0%p), 일본(-0.6%p), 한국(-0.1%p)은 수출 점유율이 하락하거나 정체됐다.

한국은 전기차 및 차세대 반도체 분야에서 2021년까지 점유율(+2.4%p, +0.6%p)과 수출경쟁력지수(+2.4p, +0.04p)가 상승하며 세계 수출 시장에서 선전했다.

하지만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수출은 2016년 이후 점유율이 하락(-3.3%p, -3.5%p)하고, 수출경쟁력지수도 소폭 하락(-0.06p, -0.09p)하면서 경쟁력이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2016년 이후 베트남의 수출 점유율이 9.4%p 급등(2021년 13.4%)하며 한국(2021년 10.7%)을 추월했으며, 이차전지는 2021년 중국의 수출 점유율이 33.9%까지 상승하며 한국(8.7%)과의 격차가 더욱 크게 확대됐다.

또 바이오헬스는 한국의 점유율이 1% 수준에서 정체되고(2016년 0.9%→2021년 1.2%), 5대 신성장 산업 중 유일하게 수출경쟁력 비교 열위가 지속(-0.76 → -0.67)되고 있어 국제경쟁력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지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한국의 5대 신성장 산업 수출 비중(2021년 26.3%)은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약 3분의 2가 차세대 반도체(16.9%p)에 편중돼 있다"며 "신성장 산업 포트폴리오를 균형있게 유지하면서 최대 신성장 분야인 바이오헬스 수출시장을 보다 공격적으로 개척할 수 있도록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