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이폰15 시리즈 올해 9월 출시 예정 소식에 中네티즌 "새로움이 없어!"

 

드디어 애플의 iPhone15 시리즈가 나온다. 

중국 네티즌들의 아이폰에 대한 충성도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아이폰15 시리즈가 카메라 기능이 좀 개선된 것 이외에 새로운 특징이 없어보이자 중국 네티즌은 실망을 금치 못하고 있다. "살 필요 없다"는 극단적 반응도 적지 않다. 

물론 실제 그럴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중국 네티즌들은 애플에 대항하려는 수많은 움직임을 보였지만, 실제 제품이 출시되는 날이면 매번 애플 상점 앞에 긴줄로 밤을 새 기다리는 장면을 연출했다. 

IT즈자 등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애플의 iPhone15 시리즈는 올해 9월 출시 예정이며, 이미 테스트를 마치고 양산에 들어가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iPhone 15 시리즈는 iPhone 15, iPhone 15 PLUS, iPhone 15 PRO, iPhone Pro Max로 라인업이 이루어진다.

또 iPhone 15 및 iPhone 15 PLUS는 60Hz 화면을, iPhone 15 Pro 및 iPhone 15 Pro Max는 120Hz 화면을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 iPhone 15 Pro Max는 6배 광학 줌 잠망경 렌즈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리 조절 버튼과 전원 버튼은 터치 형태의 햅틱 버튼으로 바꾸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이 아이폰15 프로와 프로맥스에서 볼륨과 전원 버튼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는 이유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기술적 문제" 때문으로 알려졌다.

중국 네티즌은 IPhone 시리즈가 점점 구분이 안 되고 있다며, 값비싼 새 시리즈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60HZ, 웃겨 죽겠네.

 

 
구분이 점점 안 되고 있는 것 같아요. 아이폰 사용자들, 자기 아이폰이 최신판인지 어떻게 증명할 건가요?

 

 
IPhone14 시리즈 사용자만 15 시리즈를 평가할 수 있어요. 다른 사람들에게 아이폰은 사고 싶지만 못 사는 물건일 뿐이죠.

 

 
지금의 IPhone은 예전만큼 화려하지 않아요. 시리즈5부터 13까지 썼는데 점점 평범해지는 느낌이에요.
 
IPhone3부터 IPhoneX까지 매번 바꾸면서 썼었는데 X 이후로는 바꾸지 않아요. 바꿔도 티가 안 나거든요.
 
몇 년 전에 친구한테 장난으로 IPhone18을 살 거라고 했었고 친구가 절 비웃었었어요. 지금 보니 곧 이루어질 것 같네요.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