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가장 아름다운 중국 서사시 '장한가(长恨歌)'

 

七月七日长生殿, 夜半无人私语时。

qī yuè qī rì zhǎng shēng diàn, yè bàn wú rén sī yǔ shí 。

在天愿作比翼鸟, 在地愿为连理枝。

zài tiān yuàn zuò bǐ yì niǎo, zài dì yuàn wéi lián lǐ zhī 。

天长地久有时尽, 此恨绵绵无绝期。 

tiān zhǎng dì jiǔ yǒu shí jìn, cǐ hèn mián mián wú jué qī 。 

 

칠월 칠석 서로의 품에서

그날 밤 우린 속삭였지요.

하늘에선 비익조 되고,

땅에선 연리지 되리라.

이 하늘과 땅이 먼지 될지언정,

우리 한恨만은 끊이질 않네요.

 

아 사랑하는 님아,

우리 한 몸이 돼 하늘에서 비익조가 되고,

저 땅에선 연리지가 되자.

그래서

이 하늘, 이 땅이 먼지 되는 그 순간까지,

하나로 날고,

하나로 자라자. 

 

사실 너무 유명해서 설명이 필요 없는 장한가(长恨歌)의 마지막 구절이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의 '장한가'는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사시로 꼽힌다. 

 

백거이는 자가 낙천(乐天)이다.

호는 취음(醉吟)선생, 향산(香山)거사다. 호에서 보이듯 술을 좋아했다.

가난한 선비 집안에서 태어나 평생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쉬운 시를 썼다.

두보의 맥을 이었다는 게 정평이다.

이름은 두보보다 못할지 몰라도 그가 남긴 '장한가'와 '비파행'은 두보의 어떤 작품보다 유명하다.

 

백거이는 두보처럼 현실참여 서사시를 많이 남겼는데, 장한가는 나라를 망친 황제 현종과 양귀비의 사랑을 그렸다.

현실에서는 나라를 망친 사랑이었는데, 백거이의 붓에 의해 역사에 남는, 천상을 오가는 사랑으로 승화됐다. 

 

장한가는 너무나 아름답게 잘 썼다.

서사적 내용을 시의 운율로 가슴에 울리도록 썼다.

긴 시를 읽는데, 단번에 읽힌다.

한 구절 한 구절이 가슴을 메이게 하고 눈가를 젖게 한다. 

어찌 사람들은 이 사랑을 봐주지 못했을까?

하지만 생각해보면, 황제와 양귀비의 사랑놀이에 얼마나 많은 백성이 고난에 빠졌던가?

그런 고난의 소리를 모두 잊게 할 정도로, 백거이의 시어는 너무나 아름답다.

차라리 이 시를 쓰지 않았으면….

 

소개한 부분은 장한가의 끝부분이다.

가장 유명한 부분이다.

전설의 동물과 나무가 등장한다.

비익조,

암수가 각기 눈과 날개가 하나씩인 전설의 새다.

눈과 날개가 각기 한쪽씩 있어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한다. 

하늘에서 비익조가 되고,

둘이 짝을 이뤄 영원히 하늘을 난다는 의미다. 

연리지,

본래 뿌리가 달라 서로 다른 나무가 뿌리가 엉켜

하나의 줄기로 자라는 형상을 말한다.

자연계에 정말 드물게 나타난다. 

땅에선 연리지가 되리라.

서로 다른 나무지만 짝 이상의 한 몸으로 영원히 살겠다는 것이다.

 

역사 속 양귀비는 목을 매 죽는다. 아니 그렇게 죽도록 내몰린다.

황제는 눈물만 흘릴 뿐, 속수무책이었다. 

백거이의 시 속에서는 황제가 돌아와 천상계를 돌며, 양귀비를 찾아 헤매는 것으로 나온다.

결국 황제의 명을 받든 도사가 천상계의 양귀비를 만난다.

양귀비는 황제의 마음을 전해 듣고 울며 생전에 지녔던 옥비녀와 금비녀 둘로 나눠 주며 말한다. 

 

但教心似金钿坚, 天上人间会相见。

dàn jiāo xīn sì jīn diàn jiān, tiān shàng rén jiān huì xiàng jiàn 。

 

그 마음 변치 않으면,

우리 하늘에서 다시 만날 수 있어요.

 

그런데, 그 마음이 정말 변치 않을까?

앞의 두 구절 역시 양귀비가 한 말이다. 서로 사랑했을 때 둘이 껴앉고 아무도 모르게 한 약속이었다.

서로 영원히 하나가 되어 헤어지지 말자.

그런데, 그러지 못했다. 지금 양귀비는 천상계, 하늘의 사람이 됐고,

황제는 여전히 저 땅에 있다.

양귀비의 한 서린 말이 시의 대미를 장식한다. 

 

此恨绵绵无绝期。 

끝이 없이 이어지는 긴 한, 바로 장한(长恨)의 노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