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남성 100일간 햄버거만 먹고 26㎏ 감량, 中네티즌 "좋은 광고네요!"

 

미국에서 100일 동안 맥도날드 음식만 먹고 26.5㎏ 감량에 성공한 남성이 등장해 중국 네티즌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짧은 영상 플랫폼 틱톡에 따르면 테네시주 내슈빌에 사는 케빈 맥기니스(56)는 지난 2월 22일 '100일간 맥도날드만 먹기' 도전을 시작한 뒤 100일째를 맞은 지난 1일 도전 성공을 선언했다.

그가 틱톡에 공개한 기록을 보면 도전 시작 때 몸무게는 107.9㎏에 달했으나 100일간 26.5㎏을 감량해 81.4㎏로 도전을 끝냈다.

그는 100일간 '빅맥' 등 햄버거와 머핀, 사과튀김 등 맥도날드 음식만 먹었다. 햄버거에 들어있는 양상추나 머핀에 들어있는 블루베리 말고는 채소와 과일도 전혀 먹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맥도날드 음식으로 하루 세끼를 먹되 저칼로리 옵션을 선택해 식사량을 햄버거 반 개 등 1회 제공량의 절반으로 줄인 게 감량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또 탄산음료 대신 물을 마셨고, 간식이나 술도 일절 금했다고 한다.

사실 이번 사례는 상식에서는 좀 벗어나 있다. 햄버거는 아무리 저칼로리라고 해도 일반 채식 식단에 비해 그 칼로리가 월등히 높다. 채식 중심의 식단을 짜도 감량이 쉽지 않은데, 햄버거 식단으로 다이어트에 성공했다고 하는 사례가 나온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당장 '광고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부터 던졌다. 안 그래도 맥도날드는 미국을 대표하는 패스트푸드여서 중국의 국뽕 네티즌들에게는 일찌감치 미운 털이 박힌 상태다. 

"맥도날드의 가장 좋은 광고"라는 반응에 이어 "섭취량만 통제하면 뭘 먹어도 감량에 성공할 수 있다"는 등의 지적이 눈에 띈다. "맛이 없어서 그런 것"이라는 속내 보이는 반응도 있고, 아예 "우리나라(중국)과는 조금도 관련이 없다고요"라는 반응도 있다. 

맥도날드는 한국에서도 인기다. 과연 한국에서도 시험해볼 사람이 있을까? 요즘 유튜버들은 뭐든 도전한다고 하는데 지켜볼 일이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