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중국과의 무역에서 21년 만에 적자가 발생했다. 대중국 수출이 끊임없이 줄어들더니, 이제 적자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잃어버린 중국시장 10년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지난 10년간 중국 시장이 세계 최대 시장으로 성숙했다는 것을 감안해 한국이 잃어버린 기회비용까지 본다면 그 손실은 더욱 커진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상수지는 298억3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흑자 폭이 절반 이하로 급감했다.
특히 대중국 경상수지는 2021년 234억1000만 달러 흑자에서 지난해 77억8000만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2001년(-7억6000만 달러) 이후 21년 만의 적자다.
대중국 무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계·정밀기기,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상품 수출(1365억6000만 달러 → 1232억2000만 달러)은 감소했지만 상품 수입(1209억8000만 달러 → 1332억8000만 달러)이 원자재를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상품수지에서 100억6000만 달러 적자를 봤다.
또 상품 수입과 함께 운송비 지출이 늘어 운송수지를 포함한 서비스수지가 적자(-5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과의 무역에서는 승용차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역대 최대 흑자를 냈다.
대미국 경상수지 흑자는 2021년 455억4000만 달러에서 2022년 677억9000만달러로 48.9% 증가해 1998년 지역별 경상수지가 집계된 이래 가장 큰 대미 흑자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금융계정은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가 664억1000만 달러로 전년(660억 달러)보다 소폭 늘었다.
지역별로는 대미국(282억7000만 달러 → 278억5000만 달러) 투자가 감소했지만, 대동남아(142억5000만 달러 → 153억4000만 달러)와 대중국(55억1000만 달러 → 72억9000만 달러), 대EU(62억4000만달러 → 64억4000만 달러) 투자는 증가했다. 특히 대중국, 대동남아 직접투자는 각 지역 금융계정이 집계된 2006년 이래 가장 많았다.
외국인의 국내직접투자는 220억6000만 달러에서 180억 달러로 감소했다. 미국(41억8000만 달러 → 9억8000만 달러), 동남아(54억6000만 달러 → 30억1000만 달러), 중국(15억6000만 달러 → 7억7000만 달러) 등에서 모두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