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 물류경쟁력 Top 20, 1위 싱가포르

 

물류는 현대 무역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다. 생산을 아무리 잘해도 물류 시스템 수준이 떨어지면 부가되는 비용이 대폭 늘어 상품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예컨대 중국이 일대일로의 철로를 개척하지 않았다면, 독일의 자동차가 아무리 좋아도 중국에서 독일 직수입차를 사려면 한 달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

중국의 일대일로 개척으로 이제 빠르면 일주일, 보름이면 독일 직수입 자동차를 살 수 있다. 운송 비용도 절반 가량으로 떨어졌다. 

물류는 이렇게 한 국가 상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다.

올해 세계 1위 물류 시스템을 갖춘 나라는 싱가포르로 나타났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세계은행의 2023년도 물류성과지수(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싱가포르가 글로벌 물류경쟁력 1위에 올랐다. 

중국은 19위였고, 한국은 그보다 조금 앞선 17위였다.

물류성과지수(LPI)는 각국의 물류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로 세계은행이 전 세계 160여개 국의 통관, 물류인프라, 운임 산정 용이성, 물류서비스, 화물추적, 정시성 등 6개 항목을 2년마다 발표한다. 코로나 시기 동안에는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으며 2018년 이후 5년 만에 발표됐다.

아시아권에서는 싱가포르(1위), 홍콩(7위), 일본‧대만(13위), 한국(17위), 중국(19위)이 20위권 내에 포진됐다. 상위권(20위 내)은 유럽 국가가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핀란드(2위), 덴마크(3위)의 순위가 10년 전과 비교하여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물류경쟁력은 지난 10년 간 하락추세에서 반등해 LPI 하위 6개 항목 중 통관(7위)과 물류인프라(9위)는 세계 10위권 내로 평가되었다.
우리나라와 경쟁관계에 있는 인접 국가를 대상으로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10년 전 우리나라와 유사한 순위에 있던 중국과 대만이 각각 9단계, 6단계 상승하여 19위, 13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5위에서 1위로 올라서며 세계에서 물류경쟁력이 가장 높은 국가로 평가된 반면, 일본은 10위에서 13위로 3단계 하락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물류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물류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국제물류 공급사슬의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