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교육개혁 외면한 청나라, 결국 나라가 망했다.

 

본래 근본적 문제는 뿌리가 깊고, 쉽게 해결되지 않는 법이다.
부국강국의 근본은 인재요, 교육이다.
한 명의 성군이 나와도 다양한 인재가 두루 퍼져 있지 않으면 대업을 이루기 어려운 법이다. 

많은 가난한 나라가 모두 답을 알지만 실행하지 못한다. 
너무 많은 것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당장 급하게 해결할 게 너무 많다는 게 가난하고 문제가 많은 나라 지도자들의 생각이다. 

본래 눈앞의 일이 급한 법이다. 자기 눈에 불이 나면 세상이 온통 불만 보인다.
정말 하지만, 그런 게 답일까? 
눈앞에 불을 끈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일까?
모두가 답을 안다. 아니다. 

정말 근본적인 문제를 고치는데 대가가 싸고, 
시간이 들지 않는다면 그게 제대로 된 치료법일까? 
역시 아니다. 

역사가 보여준다. 
청나라 역시 다시 기사회생할 기회가 있었다.
황제가 나서 개혁을 하려고 했지만, 
나라보다 만주족 황가의 안녕을 먼저 생각한 어머니 손에 좌절하고 만다.
그런 상황에서 부국강국의 근본적인 문제를 제시한 사람이 있다. 

 

 

중국인이 아니라 영국인 선교사였다.
중국 이름이 이제마태(李提摩太)인 티모시 리처드(Timothy Richard, 1845~1919)로 영국 웨일스의 침례교 가정에서 태어나 1870년 12월 중국 상하이에 도착한다. 이후 45년간 중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했다. 
티모시는 중국기독교문학협회를 이끌며 수많은 출판물을 통해 중국의 젊은 학자, 관리들에게 서양의 기독교, 과학, 문화 등을 소개하며 중국의 근대화와 정치 개혁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는 청나라에 당장 필요한 것이 교육개혁이라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당대 최고 권력가인 리훙장은 티모시의 제안을 묵살한다.
1887년 어느 날 둘이 만났다. 
리처드가 말했다.
“100만 냥의 은자를 들여 중국 교육제도를 개혁해야만 합니다. 그럼 중국이 다시 부국강국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훙장이 말했다. 
“청은 그렇게 큰돈을 쓸 수가 없소.”  

 

리의 말에 리처드가 항변했다. 
“이 돈은 종자돈입니다. 버리는 게 아니죠. 바로 큰 수익으로 나타납니다. 인재들이 나라를 살릴 것입니다.”
리가 다시 물었다. 
“그럼 투자한 지 얼마 뒤에 그런 수익이 나겠소?”
리처드가 답했다. 
“20~30년이면 충분합니다.” 
말을 들은 리훙장이 잘라 말했다.
“우린 그때까지 기다릴 수가 없단 말이요!”
결국 청은 망하고 말았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