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상반기 중국 게임 기업 시가총액 Top 10, 1위 텐센트

 

'2조 9270억 5000만 위안'

지난 6월말 현재 텐센트((Tencent, 텅쉰·腾迅)의 주가 총액이다. 한화로 대략 525조 원이다.

중국 게임 관련 기업 시가 총액 1위는 부동의 게임 대장주 텐센트가 차지했다.

4일 중국 게임일보(游戏日报)와 유리유거연구원(游理游据研究院)이 2023년 상반기 중국 게임 콘텐츠 기업 시가총액 순위를 발표했다.

2위는 넷이즈(NetEase, 왕이·网易)가 차지했다. 시총은  4535억4500만 위안이었다. 넷이즈는 바이두에 이은 중국의 주요 검색 사이트로도 유명하다. 3위는 773억5900만 위안의 시총을 기록한 산치후우(三七互娱)였다.

이번 순위는 상하이, 선전, 베이징, 홍콩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기업(게임 개발, 배포, 운영, 채널, 주변기기, e스포츠 등)을 대상으로 산출했으며 Top 10 기업은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

2위 넷이즈

3위 산치후우(三七互娱)

4위 스지화통(世纪华通)

5위 쿤룬완웨이(昆仑万维)

6위 화리화리

7위 쥐런왕루(巨人网络)

8위 지비터(吉比特)

9위 카이잉왕루(恺英网路)

10위 완메이스지에(完美世界)

 

게임 관련 기업 시총 1~3위는 텐센트, 넷이즈, 산치후우였다. 

4위는 시총 565억6500만 위안을 기록한 스지화통(世纪华通), 5위는 481억6000만 위안을 기록한 쿤룬완웨이(昆仑万维)였다.

중국은 세계 최대 단일 게임시장이다. 비슷한 문화지만 국가로 나뉘어 국가마다 분명한 특색을 보여주는 유럽시장, 북미 시장 등과 달리 중국은 하나의 언어로 통일돼 문화적 공통점이 큰 단일 시장이다. 중국은 철저한 온라인 관리를 통해 외국 게임업체들의 중국 시장 진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른바 온라인 진입 장벽인 '만리방화벽'이다. 

한편 텐센트는 중국의 경제 둔화 속에 연간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텐센트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 줄어든 5545억5000만 위안(약 105조 원)을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