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민간기업 5000만 개 돌파, 10년 만에 3.7배 증가

 

'5092만7600개'

지난 5월 기준 중국 등록 기업수다. 말 그대로 대군이다. 중국에 등록된 민간기업이 지난 4월초 5000만 개를 넘어섰다. 

기업은 한 나라의 경제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기업이 많다는 것은 일자리가 많다는 의미이고, 한나라의 경제가 그만큼 활발하게 움직인다는 의미다. 

공산주의의 나라 중국이 어떤 자본주의 국가보다 기업수가 많다는 게 주목된다. 

최근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중국의 민간기업은 5092만7600개로 2012년(1085만7000개) 대비 3.7배 증가했다. 

전체 기업 중 민간기업의 비중은 79.4%에서 92.4%로 증가해 국가 경제 발전에서 민간기업의 위상과 역할이 더욱 향상되었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에 따르면 '위드 코로나'로 전환된 올해 초부터 중국 민간기업의 발전이 회복되고 있다. 

최근 5개월 동안 중국 전역에 신설된 민간기업은 376만4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했다.

특히 5월 말 기준 동부, 중부, 서부, 동북 등 4개 지역에 등록된 민간기업은 각각 2822만9000개, 1050만7000개, 979만3000개, 239만8000개로 각각 55.4%, 20.6%, 19.2%, 4.7%를 점유하고 있다. 

그 중, 중부 및 서부의 민간기업은 증가했으며 동부 및 동북 지역의 민간기업은 감소했다.

올해 설립된 민간기업은 주로 도매·소매업(34.1%)과 임대·상업서비스업(13.9%), 연구개발(R&D) 서비스업(12.1%)에 집중됐다.

가장 많은 민간기업이 있는 5개의 성은 광둥, 산둥, 장쑤, 저장, 허난으로 각각 696만8000개, 434만7000개, 384.만5000개, 320만 개, 259만9000개의 민간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최근 10년간 민간기업 증가폭이 가장 큰 성은 티베트, 충칭, 하이난, 안후이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