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6월 중국내 전력 소비량 7751억㎾h, 전년 동월 대비 3.9% 증가

 

'7751억㎾(킬로와트시)'

중국의 지난 6월 사용 전기총량이다. 사용전기 총량은 전기 소비자들의 계량기에 적힌 사용 전기량의 합이다. 공급과정에서 이동 간에 사라진 전기량은 포함되지 않는 순수한 사용량을 의미한다. 

전기 사용량은 한 사회의 활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전기 사용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전기로 가동되는 제품들이 많이 사용됐음을 보여준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된 전기는 생산활동의 활동 정도를 보여주고, 일반 가정에서 전기 사용량은 한 가정 구성원들의 활동이 다양하게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집에서 사용하는 어느 것 하나 전기를 소모하지 않는 게 없는 때문이다. 

13일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중국의 6월 한 달간 전체 사회 전력 소비량은 7751억㎾h(킬로와트시)로 지난해 동월 대비 3.9% 증가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1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122억 ㎾로 지난해 동월 대비 14.0% 증가했으며, 2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5027억㎾h로 2.3% 증가했다. 3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1494억㎾h로 10.1% 증가했으며, 도시 및 농촌 주민들의 생활 전력 소비량은 1108억㎾h로 지난해 동월 대비 2.2% 증가했다.

1~6월 사회 전체의 총 전력 소비량은 4조3076억㎾h로 작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1~6월 누적 전력 사용량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1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578억㎾h로 작년 동기 대비 12.1% 증가했으며, 2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2조8670억㎾h로 4.4% 증가했다. 3차 산업용 전력 소비량은 7631억㎾h로 9.9% 증가했으며, 도시 및 농촌 주민들의 생활 전력 소비량은 6197억㎾h로 1.3% 증가했다.

중국의 전기 소모량의 증가는 경제활동 면에서는 그만큼 중국 경제가 활발하게 움직였다는 의미다.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중국 전기 생산은 석탄 의존도가 크다. 

중국이 갈수록 커지는 소비량에 맞춰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 석탄 발전이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글로벌 기후문제에는 그만큼 '빨간등'이 켜진 셈이다. 

중국 역시 탄소제로를 규정한 기후협약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글로벌 사회의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