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전자상거래 타오바오, 티몰 신규 사업자 최근 1년 간 500만 명 증가

 

"중국이 다시 세계 최강국이 된다면 그 최대 기여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의 글로벌 진출에 대한 평가다.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생활용품 분야에서는 이미 이 말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그만큼 가성비 면에서 최고의 제품을 구할 수 있도록 최적화한 곳이 바로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그 이용자들은 이미 중국을 넘어서 미국, 유럽 등 각지로 확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정 제품들은 택배로 받는 시기가 한국 현지보다 늦어서 그렇지 중국 타오바오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 훨씬 싼 경우가 많은 때문이다.

이런 중국 플랫폼 가운데도 성장세가 두드러진 게 바로 타오바오(淘寶, Taobao)다.

최근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 시간이 3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지난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 증가했다.

특히 중국 3대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타오바오의 사용자 활동(DAU/MAU)은 45%에 달해 성장률이 전자상거래 앱 중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제3자 모니터링 기관이 발표한 2022년 4월~2023년 6월 연간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타오바오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총 수는 8.77억 명에 달했다.

타오바오의 활성 사용자 대폭 증가는 중국 소비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지난 618 쇼핑 축제 기간 동안 타오바오는 처음으로 중소기업 전용 마케팅 채널을 출시했다. 또 '예타오바오(夜淘宝, Nigt Taobao)'를 정식 출시하여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등 특색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는 3년만의 가장 큰 개혁이라고 볼 수 있다.

타오바오의 개혁 효과는 사용자 측뿐만 아니라 기업 측에서도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지난 1년 동안 타오바오와 티몰(天猫, Tmall)은 500만 명의 신규 사업자를 모집했으며, 그 중 100만 명이 핀둬둬(拼多多)에서 유입됐다. 2분기 티몰 신규 입주 기업은 지난해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은 C2C(개인 간 거래)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 타오바오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에 주력하는 온라인 플랫폼 티몰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