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저우언라이 인물탐구 <13> 어린 학생들을 집어삼킨 문화대혁명의 불길(2)

롄둥(联动)의 활동에 장칭(江青) 등 중앙문혁소조의 소위 4인방은 불안을 느꼈다. 어린 학생의 도전이라고 가만히 있을 그들이 아니었다.

 

저우언라이(周恩来)가 먼저 위기를 느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롄둥의 뿌리는 베이징시 규찰대였고, 시청 규찰대는 국무원의 지도를 따르는 곳이었다. 문화대혁명의 혼란보다 안정을 추구했다. 지역의 안정에 힘을 쏟은 조직이 바로 롄둥이었다.


그러나 1966년 12월 12일 런민르바오(人民日报) 산하의 이론지 '훙치(红旗)'마저 이런 롄둥을 비판하고 나섰다. 모두 장칭 등 문혁 4인방이 뒤에서 힘을 쓴 것이다. 저우언라이가 고육지책을 썼다. 그는 롄둥이 소집한 집회에 참석해 "이제 롄둥 스스로 조직을 해산할 때"라고 말한다. 롄둥을 향해 독수를 준비하고 있던 장칭의 마음을 꿰뚫은 발언이었다.

 


그러나 장칭이 때를 놓칠 사람이 아니다. 장칭 등은 12월 18일 베이징 인민 대회당에서 홍위병 1, 2, 3 사령부 그리고 수도병단 대표 등을 접견한다. 그리고 이들 대학생 홍위병 조직이 고등학생 조직인 '롄둥' 조직을 진압하도록 선동한다. 
"반동에는 나이가 없다. 어린 학생들을 때려 잡아라!" 소위 중앙문혁의 명령이었다. 베이징이 다시 혼돈에 빠졌다. 당시 이미 홍위병들의 불법적인 구타, 구속 행위가 있어 이를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진 상태였다. 장칭 역시 이를 잘 알고 있었다. 장칭은 이미 베이징시 공안과 이에 대한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너희들은 아이들을 붙잡으면 바로 경찰로 넘겨라. 지금 너희들이 구속하는 것은 안된다." 장칭은 대학생 홍위병들에게 이같이 당부했다. 1967년 1월 25일 오후 4시 대학생 홍위병 등 4만여명과 경찰이 동시에 장칭의 명령에 따라 움직였다. 베이징 시내 주요 중고등학교를 포위하고 규찰대원 색출에 나섰다. 규찰대 학생들은 도처로 도망을 갔다. 


장칭은 특별히 몇몇 규찰대원들을 추적해 붙잡도록 했다. 이들 규찰대원들은 이른바 붉은 귀족으로 불리는 '훙얼다이(红二代)', 즉 공산 혁명 원로들의 자녀들이었다. 이들 가운데는 훗날 홍위병의 집단 비판을 받고 자살하는 저우언라이의 비서 쉬밍(许明)의 아들 쿵단(孔丹)과 국가 부주석 둥비우(董必武)의 아들 둥량허(董良翮)도 있었다. 

 

훗날 둥비우 부주석은 아들에게 "나 대신에 네가 고생을 했구나"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 홍위병의 집단 비판의 굴욕을 받으며 쉬밍이 죽어가자 이 모습을 본 장칭은 그를 손가락질하며 규찰대 아들을 뒤에서 봐준 이였다고 욕을 했다고 전해진다.

 

무려 3개월여의 규찰대원 탄압이 자행됐다. 붙잡힌 규찰대원들은 대략 100여 명, 모두 베이징 1급 감옥에 수감됐다. 1967년 4월 22일에서야 장칭은 이들을 풀어준다. 이들은 그날 베이징 인민대회당 동대청에서 저우언라이와 회동을 한다.

중국 공산당 자료는 당시를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인민 대회당에서 저우언라이 총리를 만난 아이들은 마치 오랫동안 그리던 부친을 만난 듯했다. 아이들의 눈가에 눈물이 맺혔고, 모두 울기 시작했다. 저우언라이 총리는 아이들 가운데 몇몇을 호명해 무사한지를 체크했다. 장칭과 천보다 등 중앙문혁소조의 주요 간부들도 자리를 함께 했다. 이들은 모두 아이들이 풀려나는 것에 대해 인정을 하지 못하겠다는 태도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