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반기 중국 규모이상 인터넷 기업 매출 6433억 위안, 2.6% 성장

 

중국 인터넷 경제의 성장세가 2%대에 그치고 있다. 미국 등 성숙한 경제의 성장률이 2%다. 

그럼 중국 인터넷 경제는 이제 완연한 성숙기에 접어든 것일까? 

전문가들의 의견은 두 가지 포인트를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하나는 기술력 기반의 시장 규모다. 이는 현재의 인터넷 기술이 제공하는 시장 규모가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현재 인터넷 쇼핑의 기본은 사진 나열식이 주를 이룬다. 최근 들어 라이브 방송을 통한 판매 방식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사진 나열식이다. 사고 싶은 물건의 사진을 찾으면서 클릭해 주문하는 방식이다. 

라이브 방식으로 사고 싶은 물건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클릭해 주문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지만 이는 찾아서 보는 청취자들만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새로운 판매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예컨대 메타버스 기술을 통해 거리를 걸으면서 앞서 가는 이의 멋있는 패션을 보고 스마트폰으로 체크해서 주문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는 무역 장벽의 제거다. 글로벌 경제는 자유무역주의에 의해 오늘날 급성장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경제 주권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은 여전히 상존해 있다.

온라인 경제는 국경이 없다. 무역 장벽도 더욱 허물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미중 갈등 등 현존하는 국제 갈등이 문제가 된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는 이 같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해결되는 게 각국에 더 유리한 때문이다. 

그럼 중국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경제는 더욱 비약적인 발전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물론 현재는 2% 성장에 그치고 있지만 말이다.

최근 중국 공업신식화부(공신부, 工信部)가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업 운영 현황'에 따르면,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이하 인터넷 기업)의 올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6% 증가한 6433억 위안, 이윤총액은 27.6% 증가한 639.6억 위안을 기록했다. 

또 영업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반면 총 연구개발(R&D)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305.4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상반기 정보 서비스가 주축인 기업(검색, 소셜, 게임, 뮤직비디오 등)의 인터넷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다. 

생활 서비스 제공을 주축으로 하는 플랫폼 기업(렌터카 예약, 관광/여행, 금융 서비스, 자동차, 주택 등)의 인터넷 사업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9.5% 증가했다.

온라인 판매 서비스가 주축인 기업(농산물, 종합 전자상거래, 의료용품, 택배 등)의 인터넷 사업 매출은 37.4%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