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 약 1조 9916억 위안

 

라이브커머스는 모바일 시대 또 다른 트렌드다. 스마트폰의 고화질 동영상으로 쇼호스트가 직접 상품을 체험하는 모습을 보면서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형태다.

쇼호스트들은 다양한 매력은 물론, 다양한 상품을 구비해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라방'이라는 새로운 유통망까지 등장한 상태다. 중국 역시 일찌감치 이른바 '왕홍'들이 등장해 라이브커머스 시대를 이끌었다.

28일 중국 국무원 산하 중국경제시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1조 9916억 위안(약 361조 원)이며 연간 거래 규모는 4조 5657억 위안(약 829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30.44% 증가한 수치이다. 

2017년의 매출액 196.4억 위안에서 2023년 4조5657억 위안으로 성장한 것은 중국의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연평균 성장률은 75%를 초과한다. 

현재 중국 전역에는 113개의 주요 라이브커머스 관련 기업이 있으며, 저장성이 37개로 가장 많다.

올해 상반기 중국 라이브커머스 이용자 규모는 약 5억40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6% 증가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라이브커머스 상거래의 1인 평균 소비액은 각각 296.95위안, 1775위안, 2822.58위안, 4639.68위안 및 7399.58위안이었다. 2019년의 1인당 연간 소비 증가율이 497.74%로 가장 높았고, 이후 몇 년 동안 증가율은 완만하게 감소했다.

시장 성장률은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이 라이브커머스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라이브커머스 상거래 기업은 약 2만3000개이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34% 증가한 수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