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7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업 사업 수입 7666억 위안

 

'7666억 위안'

한화로 약 139조 원 가량이다. 올 1~7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의 사업 수입이다.

전년동기 대비 3% 가량 성장했다. 

본래 중국의 인터넷 산업은 성장률은 두자릿수였다. 급속한 성장을 하던 중국 인터넷 산업이 이제 한 자릿수, 그 것도 2%대 성장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인터넷 산업이 사실상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다. 성숙기가 되면 모수가 커진다. 성숙기 3%의 액수는 발전기의 10% 액수 보다 숫자에서는 클 수가 있는 것이다. 

급속한 성장은 없지만 꾸준한 성장이 있는 단계다.

중국 공업신식화부(공신부)가 올해 1~7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업의 운영 상황을 최근 발표했다.

전체적으로 중국의 인터넷 사업 수입은 꾸준히 증가했고, 이윤 총액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연구개발(R&D) 자금 감소폭은 축소되었다.

1~7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의 사업 수입은 7666억 위안(약 13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규모이상 인터넷 기업 운영비는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상반기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이윤 총액은 799억3000만 위안(약 14조 52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상반기보다 1.5포인트 증가했다.

또 총 375억3000만 위안(약 6조 8200억 원)이 연구개발에 투자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한 수치이다.

서비스 부문별 운영 현황을 보면 정보 서비스(뉴스, 검색, 소셜 네트워킹, 게임, 뮤직비디오 등 포함) 기반 기업의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생활 서비스(지역생활, 렌터카, 여행, 금융서비스, 자동차, 주택 등)를 주로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했다.

또 온라인 판매 서비스(대량 상품, 농산물 및 부업품, 종합 전자상거래, 의약품, 속달 배송 등) 기업의 인터넷 사업 수익은 전년 대비 42.4%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