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러몬도 美상무장관 “최첨단 반도체 칩은 中에 수출 안 할 것", 中네티즌 "필요 없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막아라. 

미국 바이든 정부의 최대 과제다. 물론 중국의 정상적인 성장을 무조건 억제하겠다는 게 아니다. 중국의 발전이 미국 기술에 대한 도적질 덕에 가능해졌다는 게 미국의 판단이다. 

미국은 중국이 훔친 기술로 마치 축지술을 펼치듯 급속한 성장을 꾀하는 것은 미국이 그동안 기술 개발에 들인 노력을 무산시키는 행위라고 보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한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은 다르다. 일단 근대 서구의 발전은 동양 자산에 대한 도적질에서 시작하지 않았냐고 반문한다.

물론 눈에 눈, 이에는 이라는 방식이 옳지는 않다고 하지만, 중국 네티즌은 미국이 원하는 대로 하면 중국은 영원히 서방 세계의 뒤만 쫓는 형국이 되는데 그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최근 미중 갈등의 본질이 여기에 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이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중국을 방문하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러몬도 장관은 3일(현지시간) CNN 시사 프로에 출연해 "내달 종료되는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의 일부 유예에 대해 검토 중"이지만 "군사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최첨단 AI(인공지능) 관련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해 중국은 이는 공정한 경쟁 원칙과 국제 경제 무역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라며 지난해 12월 WTO에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특히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해칠 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의 이익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해왔다.
중국 네티즌은 러몬도 장관 발언에 대해 "중국도 미국 칩이 필요없다"며 "중국 기업의 혁신을 위한 좋은 기회"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한편 러몬도 장관은 4일간의 방중 기간에 베이징과 상하이를 방문하고 리창 국무원 총리 등 중국측 고위 인사들과 회담했다. 

라이몬도의 중국 방문 중 화웨이는 신형 휴대전화 Mate60 시리즈를 사전 판매해 중국 안팎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워싱턴포스트는 2일 화웨이의 신형 휴대전화 출시로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가 중국의 핵심 기술 발전을 막지 못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