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4일 제20차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중국인 방한 관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의 목표는 올해 하반기 중국인 관광객을 상반기의 3배 규모인 150만 명을 유치해 올 한해 중국인 관광객 200만 명을 달성하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0.16%포인트 기여한다는 것이다.
우선, 정부는 이달 29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이어지는 중국의 국경절 연휴를 겨냥해 중국 현지에서 K-관광 마케팅을 다변화한다.
먼저 이달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K-관광 로드쇼를 열고 내년에는 중국 내 5개 도시에서 로드쇼를 개최하고, 올해 말까지 1만8000원 상당의 중국 단체관광객 전자비자 발급 수수료를 면제하고 면세쇼핑 환급 등을 간소화한다. 위챗페이, 알리페이 등 모바일페이 가맹점 25만개도 추가 확대하고 다음 달부터 부가세 즉시 환급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출입국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한중 항공편을 증편하고 현재 입항 신청 중인 중국발 크루즈의 접안부두도 신속하게 배치한다.
나아가 마이스(MICE), 카지노, K-컬처, 의료관광 등 고부가가치 관광상품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중국인 방한 관광 시장의 질적 도약을 꾀할 계획이다. 구매력이 높은 중상류층 및 MICE 관광객을 타깃으로 한 상품을 판매해 중국 관광객이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K-컬처와 K-푸드, K-뷰티 등의 특화 체험 상품도 다변화한다. 이달부터 항공권 구매 시 'K-컬처 버킷리스트 챌린지'에 응모할 기회를 부여하고, 추첨을 통해 1만 명에게 '프로게이머와 함께하는 e-스포츠', '한강 감성 피크닉', 'K-리그 야구 응원' 등 차별화된 체험을 제공한다.
또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를 연내 조기 개장하고, 제주·부산 등 크루즈 기항지에서 즐길 수 있는 지역특화 관광 프로그램을 신규 개발한다.
한편 방한 중국인은 7월에 22만4000명을 기록해 월별 방한 외래관광객 수 1위로 올라섰다. 2019년까지 방한 규모 1위였던 중국은 1인당 한국 여행 지출 경비도 전체 외국인 평균보다 38%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