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세기 사진 거장 35명의 원본 사진 작품 100점 전시

 

'다큐멘터리를 넘어: 20세기 유명 서양 사진가들의 원본 작품 전시회(超越纪实:20世纪西方摄影名家原作展)'가 최근 개막했다.

21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전시는 중국 쑤저우 양청호 인근에 위치한 'Guardian Youai Art Center(嘉德·宥爱艺术中心)'에서 내년 2월 25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미술센터 소장이자 저명한 미술사가인 우훙(Wu Hung)이 기획한 것으로, 20세기 세계 최고의 사진 거장 35인의 대표작 100점을 감상할 수 있다.

우홍이 선정한 35명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로버트 프랭크, 디안 아버스, 어빙 펜, 로버트 라우센버그, 제프 쿤스, 데미안 허스트, 볼프강 틸만스 등 한국에도 많이 알려진 사진작가 및 예술가들이다.

우홍은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4개 파트로 나누었다. 첫 번째 부분인 '독립적인 사진을 추구하다'에서는 회화라는 모체에서 사진예술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 부분 '현대 언어 탐구'에서는 모더니즘 범주에 진입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각적 언어 체계를 시도하며 사진 예술을 흥미로운 발명과 창조로 채우는 사진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세 번째 부분인 '개인화된 현실의 창조'에서는 현실에 대한 작가 특유의 이해와 재구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네 번째 부분 '현대적 느낌을 전하다'에서는 '현대사진' 범주의 사진들로 사진과 현대 문화예술 개념의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