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상하이 디즈니랜드, 세계 최초 '주토피아 테마파크' 12월 20일 개장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8번째 테마파크인 '주토피아' 오는 12월 20일 공식 개장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주토피아 테마파크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두 번째 확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 개봉한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주토피아'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영화 속 이야기를 현실판으로 옮겨놓은 듯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캐릭터인 닉(여우)과 주디(토끼)가 경찰관이 되어 추격적을 벌이는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Zootopia: Hot Pursuit)' 어트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의 주요 도로는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장면을 그대로 옮겨왔으며 영화에 나왔던 아이스캔디, 도넛 등의 먹거리도 매장에서 판매된다. 

주토피아 방문객은 전 세계 디지니랜드 최초의 주토피아 테마파크에서 무궤도 주행 등 속도감과 긴박감 넘치는 추격전을 체험하게 된다.  

한편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모기업인 미국 월트디즈니컴퍼니는 지난 9월 19일 " 향후 10년간 테마파크와 크루즈 등 사업에 약 80조 원을 지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미디어 환경 변화로 TV·방송 네트워크 사업의 매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체험형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집중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