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0월 중국 전력소비량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

 

중국 당국이 중국 경제를 자신했다. "핵심분야에서 긍정적"이라는 메시지를 내놨다.

최근 중국 경제가 침체냐, 회복이냐 갈림길에서 침체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데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 정부 당국이 최근 내놓은 경기 지표들은 침체라기 보다 완만한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월별 정례 기자회견을 16일 개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멍웨이(孟玮) 정책연구실 부국장 겸 대변인은 "중국 경제는 대체로 상승세를 유지했으며 자동차 등 핵심 분야의 소비에 긍정적인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 따르면 10월 중국내 규모이상 산업의 부가가치와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 7.7% 증가했고, 증가율도 전월보다 0.1%포인트, 0.8%포인트 높아졌다.

또 1월부터 10월까지의 중국 전체 전력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이 중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의 전력 소비는 각각 11.4%, 5.8%, 10.4%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14개 성(자치구, 직할시)의 전력소비 증가율이 6%를 넘었고, 5개 성(자치구, 직할시)의 전력소비 증가율은 10%를 넘었다. 10월 사회 전체 전력 소비량은 8.4% 증가했다.

또 1월부터 10월까지 총 130개 고정 자산 투자 프로젝트가 승인되었으며 총 투자액은 1조 800억 위안에 달했다.   

멍 부국장은 "다음 단계에서는 당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의 결정을 전면적으로 관철하고 거시적 통제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하며 1조 위안 규모의 국고채를 추가 발행하는 등 거시적 정책의 지속적인 실시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겨울 성수기에 석탄, 전기, 석유, 가스 수송을 강화하여 인민들이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취업우선정책 실시를 강화해 대졸자, 이주노동자 등의 취업을 보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