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북부지역 이슬람 사원 수천 개 폐쇄

 

중국 당국이 소수 종교를 '중국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다음으로 무슬림 인구가 많은 닝샤(寧夏)회족자치구와 간쑤(甘肅)성 지역에 있는 모스크들을 폐쇄하거나 개조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독립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이 지역의 고유 문화와 종교를 억압하고 있다고 국제 인권 단체들은 지적해왔다.

이번 보도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 당국의 억압이 한 단계 심화됐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가디언은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닝샤자치구와 간쑤성의 모스크 수를 크게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오랫동안 중국의 소수 종교 및 민족을 엄격하게 통제해 왔으며, 2016년 시진핑 중국 주석이 "중국내 종교의 중국화"를 천명한 이후에는 모스크 폐쇄와 개조가 더 증가했다.

HRW의 조사 결과를 보면 닝샤에 있는 모스크의 3분의 1인 1300여 개가 2020년 이후 폐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닝샤자치구 중웨이시의 경우 2019년에 214개의 모스크가 변경되고 58개가 통합됐으며 37개가 '불법 등록 종교 유적지'로 사용이 금지됐다.

닝샤의 한 이맘은 "당국의 모스크 통합 정책은 2.5㎞ 이내에 있는 모든 모스크를 합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모스크가 문을 닫으면 다음 세대는 서서히 신앙을 잃고 무슬림들은 중국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5월 중국 남서부 윈난성의 후이족 무슬림 마을에서는 수백 명의 경찰이 모스크의 일부를 철거하려는 시도를 둘러싸고 시위대와 충돌한 바 있다. 

현재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중국의 소수민족 종교와 인권탄압 문제를 제기하며 신장자치구산 면화 제품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